대선후보 사칭까지…상인 울리는 ‘노쇼 사기’
올해 광주·전남 111건 발생…4월 건수 8배 폭증
5·18 희생자 유족 소상공인 2400만원 송금 피해
5·18 희생자 유족 소상공인 2400만원 송금 피해
입력 : 2025. 05. 21(수) 18:30

공무원 등을 사칭해 식당 등에 허위 주문한 뒤 다른 명목으로 선입금을 받는 이른바 ‘노쇼’(NO-Show) 사기 범죄가 잇따르고 있다. 최근에는 대선 후보까지 사칭하는 사례까지 발생해 주의가 요구된다.
21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5월 중 노쇼 사기 피해 사건 수는 총 111건(광주 84건·전남 27건)으로 나타났다.
1월 2건(광주 1건·전남 1건) 2월 4건(광주 4건·전남 0건), 3월 3건(광주 2건·전남 1건)에 불과했던 노쇼 사기는 4월 75건(광주 54건·전남 21건)으로 1~3월 대비 8배 이상 급증했다. 5월 현재 27건(광주 23건·전남 4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노쇼 사기는 특정 유명인이나 공공기관 직원 등을 사칭해 음식, 제품을 단체 주문한 뒤 연락을 끊거나 대리구매 명목으로 돈을 가로채는 범죄를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선거 시기를 틈타 대선 후보 관계자라고 속인 뒤 금품을 챙기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광주 광산경찰은 이날 노쇼 사기 피해를 호소하는 식당 업주 A씨의 진정을 접수해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A씨는 지난 17일 이재명 후보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선거 캠프 관계자가 다음 날 저녁식사를 하러 오겠다는 예약 전화를 받고 준비 중이었다.
5·18민주화운동 희생자의 유족인 A씨는 이 후보가 5·18 기념식에 참석한 뒤 식사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 예약자는 예약 당일 식사 준비 상황을 물으며 마치 이 후보가 원하는 고가의 특정 양주가 있는 것처럼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주류는 개인이 구매할 수 없으니 식당에서 대신 구매해 준비해 주면 돈을 지급하겠다며 특정 업체의 계좌번호를 알려줬다.
A씨는 이 말을 믿고 2400만원을 보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예약자는 ‘다른 일정이 생겨 예약을 취소하겠다. 비용은 보내드리겠다’고 말한 뒤 연락이 끊겼다.
뒤늦게 이 후보가 대선 후보 토론 일정 때문에 처음부터 광주에서 저녁 식사를 할 수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된 A씨는 경찰서에 찾아가 진정서를 제출했다.
경찰은 A씨가 입금한 돈이 흘러간 경로를 파악할 계획이다.
광주 남부경찰에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진화에 나서고 있는 소방관을 사칭한 신원 미상 인물에게 속아 20여만원 상당의 피해를 봤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주문자는 ‘김치찜 15인분, 공깃밥 17개를 진화가 한창인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으로 보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의자는 뒤늦게 음식점에 “가고 있다”는 말을 하며 특정 업체의 전화번호를 전달해 방역복을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후 음식을 수령하지 않았고 업주는 준비한 음식을 모두 폐기 처리했다.
광주시청을 사칭한 ‘노쇼 사기’도 발생했다. 시청 직원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사기범이 식당 측에 예약한 뒤, 특정 고급 와인을 구매해둘 것을 요청했다.
이후 방문하면 식사비와 함께 와인값을 결제하겠다면서 특정 주류업체에 송금을 유도했다. 하지만 해당 예약은 사실무근이었다
전남 지역에서도 노쇼 사기 피해가 잇따랐다.
21일 여수에서도 공무원을 사칭하며 업체에 물품 구매를 의뢰하는 사례가 발생해 여수시가 주의를 당부했다.
민원인 B씨는 최근 시청 총무과를 찾아 휴대전화에 사진으로 저장된 명함을 보여주며 해당 직원이 실제 근무하는지 물었다.
B씨는 자신을 시청 주무관이라고 소개한 사람에게 ‘급하게 심장제세동기를 대신 구매해 주면 곧 예산 처리를 해주겠다’는 부탁을 받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명함에 적힌 이름의 직원은 여수시에 없었다.
시는 시청 홈페이지에 ‘여수시청 공무원 사칭 및 물품 구매 사기 주의’라는 제목의 안내문을 게재했다.
전문가들은 노쇼 사기 범죄는 보이스피싱처럼 사기범이 대포폰·대포통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보상이 어려울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정병곤 남부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기관 사칭은 사기 또는 업무방해죄, 명예훼손 등에 적용될 수 있다”며 “노쇼 사기 예방을 위해 번거롭더라도 예약 보증금을 받거나 주문을 의뢰한 기관·단체에 대한 확인 전화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21일 광주·전남경찰청에 따르면 지난 1월부터 5월 중 노쇼 사기 피해 사건 수는 총 111건(광주 84건·전남 27건)으로 나타났다.
1월 2건(광주 1건·전남 1건) 2월 4건(광주 4건·전남 0건), 3월 3건(광주 2건·전남 1건)에 불과했던 노쇼 사기는 4월 75건(광주 54건·전남 21건)으로 1~3월 대비 8배 이상 급증했다. 5월 현재 27건(광주 23건·전남 4건)의 피해가 발생했다.
노쇼 사기는 특정 유명인이나 공공기관 직원 등을 사칭해 음식, 제품을 단체 주문한 뒤 연락을 끊거나 대리구매 명목으로 돈을 가로채는 범죄를 말한다.
특히 최근에는 선거 시기를 틈타 대선 후보 관계자라고 속인 뒤 금품을 챙기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광주 광산경찰은 이날 노쇼 사기 피해를 호소하는 식당 업주 A씨의 진정을 접수해 사실 관계를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A씨는 지난 17일 이재명 후보를 비롯한 더불어민주당 선거 캠프 관계자가 다음 날 저녁식사를 하러 오겠다는 예약 전화를 받고 준비 중이었다.
5·18민주화운동 희생자의 유족인 A씨는 이 후보가 5·18 기념식에 참석한 뒤 식사하는 것으로 생각했다.
그러나 이 예약자는 예약 당일 식사 준비 상황을 물으며 마치 이 후보가 원하는 고가의 특정 양주가 있는 것처럼 이야기했다.
그러면서 주류는 개인이 구매할 수 없으니 식당에서 대신 구매해 준비해 주면 돈을 지급하겠다며 특정 업체의 계좌번호를 알려줬다.
A씨는 이 말을 믿고 2400만원을 보냈고, 얼마 지나지 않아 이 예약자는 ‘다른 일정이 생겨 예약을 취소하겠다. 비용은 보내드리겠다’고 말한 뒤 연락이 끊겼다.
뒤늦게 이 후보가 대선 후보 토론 일정 때문에 처음부터 광주에서 저녁 식사를 할 수 없었다는 것을 알게 된 A씨는 경찰서에 찾아가 진정서를 제출했다.
경찰은 A씨가 입금한 돈이 흘러간 경로를 파악할 계획이다.
광주 남부경찰에도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에서 진화에 나서고 있는 소방관을 사칭한 신원 미상 인물에게 속아 20여만원 상당의 피해를 봤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주문자는 ‘김치찜 15인분, 공깃밥 17개를 진화가 한창인 금호타이어 광주공장으로 보내야 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용의자는 뒤늦게 음식점에 “가고 있다”는 말을 하며 특정 업체의 전화번호를 전달해 방역복을 대신 구매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이후 음식을 수령하지 않았고 업주는 준비한 음식을 모두 폐기 처리했다.
광주시청을 사칭한 ‘노쇼 사기’도 발생했다. 시청 직원이라고 자신을 소개한 사기범이 식당 측에 예약한 뒤, 특정 고급 와인을 구매해둘 것을 요청했다.
이후 방문하면 식사비와 함께 와인값을 결제하겠다면서 특정 주류업체에 송금을 유도했다. 하지만 해당 예약은 사실무근이었다
전남 지역에서도 노쇼 사기 피해가 잇따랐다.
21일 여수에서도 공무원을 사칭하며 업체에 물품 구매를 의뢰하는 사례가 발생해 여수시가 주의를 당부했다.
민원인 B씨는 최근 시청 총무과를 찾아 휴대전화에 사진으로 저장된 명함을 보여주며 해당 직원이 실제 근무하는지 물었다.
B씨는 자신을 시청 주무관이라고 소개한 사람에게 ‘급하게 심장제세동기를 대신 구매해 주면 곧 예산 처리를 해주겠다’는 부탁을 받았다고 전했다.
하지만 명함에 적힌 이름의 직원은 여수시에 없었다.
시는 시청 홈페이지에 ‘여수시청 공무원 사칭 및 물품 구매 사기 주의’라는 제목의 안내문을 게재했다.
전문가들은 노쇼 사기 범죄는 보이스피싱처럼 사기범이 대포폰·대포통장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아 피해 보상이 어려울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정병곤 남부대 경찰행정학과 교수는 “기관 사칭은 사기 또는 업무방해죄, 명예훼손 등에 적용될 수 있다”며 “노쇼 사기 예방을 위해 번거롭더라도 예약 보증금을 받거나 주문을 의뢰한 기관·단체에 대한 확인 전화를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