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김공사, 주산지 전남에 설립해야"
박문옥 도의원 공개 제안…김영록 지사 "종합 검토"
입력 : 2024. 09. 05(목) 14:55

박문옥 도의원
세계적으로 선풍적 인기를 끌고 있는 김 산업의 발전을 위해 콘트롤타워격인 가칭 ‘한국김공사’를 주산지인 전남에 설립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남도의회 박문옥(더불어민주당·목포3) 의원은 5일 제384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정부 또는 전남도가 주도하는 ‘한국김공사’ 추진을 공개 제안했다.
한국 김은 K-푸드 열풍을 타고 지난해 1조 원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특히, 주산지인 전남은 전국 물김 생산량의 80%, 전남 수산물 수출액의 78%를 차지하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세계적으로도 한국은 지구촌 생산량의 65%를 점유했다.
박 의원은 “전남은 국내 김 생산액의 8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수출액은 31.5%에 그쳐 생산과 수출이 불균형을 이루는 실정이다”고 우려했다.
박 의원은 “수출 1조 원의 효자산업인 김산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후위기에 맞는 종자 연구, 안정적 소득이 보장되는 원물 생산, 수매와 비축을 고려한 물류 시스템, 입맛을 사로잡는 신제품과 브랜드 개발, 여기에 수출 마케팅과 투자 확대 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특히 “지속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선 연구개발(R&D)부터 시작해 마지막 브랜드화돼 최종 소비자에게 나가는 과정, 여기에 연관산업 확장까지 김산업 전반을 컨트롤할 공공기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영록 지사는 “현재 국립 김산업진흥원을 설립하기 위해 노력 중이고, 목포에 수출산업화단지가 있다 보니 (기능이) 중첩될 수 있어 시기상조인 측면이 있다”면서도 “김산업 육성에 전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고, 김공사 설립 부분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적극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생산량은 압도적 1위인데 산업화에 뒤져 수출이 3위라면 자존심의 문제여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수출기업 육성과 함께 대행 방식 등을 통해 수출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방안도 다각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전남도의회 박문옥(더불어민주당·목포3) 의원은 5일 제384회 임시회 2차 본회의 도정질문을 통해 정부 또는 전남도가 주도하는 ‘한국김공사’ 추진을 공개 제안했다.
한국 김은 K-푸드 열풍을 타고 지난해 1조 원의 수출 실적을 올렸다. 특히, 주산지인 전남은 전국 물김 생산량의 80%, 전남 수산물 수출액의 78%를 차지하며 일등공신 역할을 했다. 세계적으로도 한국은 지구촌 생산량의 65%를 점유했다.
박 의원은 “전남은 국내 김 생산액의 80%를 차지하고 있음에도 수출액은 31.5%에 그쳐 생산과 수출이 불균형을 이루는 실정이다”고 우려했다.
박 의원은 “수출 1조 원의 효자산업인 김산업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기후위기에 맞는 종자 연구, 안정적 소득이 보장되는 원물 생산, 수매와 비축을 고려한 물류 시스템, 입맛을 사로잡는 신제품과 브랜드 개발, 여기에 수출 마케팅과 투자 확대 등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특히 “지속가능한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기 위해선 연구개발(R&D)부터 시작해 마지막 브랜드화돼 최종 소비자에게 나가는 과정, 여기에 연관산업 확장까지 김산업 전반을 컨트롤할 공공기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영록 지사는 “현재 국립 김산업진흥원을 설립하기 위해 노력 중이고, 목포에 수출산업화단지가 있다 보니 (기능이) 중첩될 수 있어 시기상조인 측면이 있다”면서도 “김산업 육성에 전방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데는 공감하고, 김공사 설립 부분에 대해서도 종합적으로 적극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생산량은 압도적 1위인데 산업화에 뒤져 수출이 3위라면 자존심의 문제여서 대응이 필요한 상황”이라며 “수출기업 육성과 함께 대행 방식 등을 통해 수출을 더욱 활성화시키는 방안도 다각적으로 검토해볼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