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반차휴진’ 잇따라…지역 확산 ‘예의주시’
‘의대 정원 확대 반발’ 전공의 집단사직 3일째
수술 지연·진료 거절·예약 취소 등 피해신고 급증
수술 지연·진료 거절·예약 취소 등 피해신고 급증
입력 : 2024. 02. 22(목) 18:25
“동네 의원들까지 휴진에 동참할까봐 걱정입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의료대란’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동네 의원들까지 휴진으로 정부와의 대치 국면에 동참하면서 시민의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22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경기도 등의 동네 의료기관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확대 방침에 반발해 ‘반차 휴진’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동네 의원들이 집단 휴진 등으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에 힘을 더하려는 모양새다.
아직까지 광주지역에서 수도권 동네 병원의 집단 휴진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은 없지만 폭풍 전야의 기운이 감돌고 있다.
특히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최근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유행해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은 폐렴과 천식, 열 경련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오전 서구의 한 소아과병원에는 진료시간이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진료 순서를 기다리는 어린이와 부모들로 붐비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예방 접종이나 독감에 걸린 아이의 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다.
일부 보호자들은 병원 내부에 설치된 TV에서 흘러나오는 전공의 집단 사직 관련 뉴스에 눈을 떼지 못했다.
40대 보호자 A씨는 “수도권 동네 병원에서 전공의 집단 사직에 맞춰 휴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다섯 살 둘째 딸이 잔병치레가 잦은데, 우리 동네 의원까지 휴진이 확산할까 걱정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성인이 감기에 걸리면 보통 약을 먹거나 며칠만 버티면 완치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은 아무 약이나 먹일 수 없지 않느냐”고 하소연했다.
일부 시민은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에 분노를 드러내기도 했다.
30대 주부 B씨는 “의사가 환자를 두고 자리를 벗어나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지금까지 상황만 보면 의사들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에 눈 먼 집단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공의 근무지 이탈 집단행동으로 인한 진료 피해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오후 6시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신규로 접수된 피해 사례는 총 57건으로 수술 지연 44건, 진료 거절 6건, 진료예약 취소 5건, 입원 지연 2건 등이다.
정부는 진료·수술 지연 등으로 피해를 입은 국민을 대상으로 법률상담 서비스 등을 신속히 지원하고 있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에 반발한 전공의들의 집단사직으로 ‘의료대란’이 사흘째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동네 의원들까지 휴진으로 정부와의 대치 국면에 동참하면서 시민의 불안감이 확산하고 있다.
22일 보건복지부 등에 따르면 경기도 등의 동네 의료기관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확대 방침에 반발해 ‘반차 휴진’ 집회를 이어가고 있다.
일부 지자체의 동네 의원들이 집단 휴진 등으로 전공의들의 집단행동에 힘을 더하려는 모양새다.
아직까지 광주지역에서 수도권 동네 병원의 집단 휴진에 동참하려는 움직임은 없지만 폭풍 전야의 기운이 감돌고 있다.
특히 영·유아 자녀를 둔 부모들의 걱정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최근 기관지염 같은 호흡기 바이러스가 유행해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은 폐렴과 천식, 열 경련으로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오전 서구의 한 소아과병원에는 진료시간이 시작되지 않았음에도 진료 순서를 기다리는 어린이와 부모들로 붐비고 있었다.
이들은 대부분 예방 접종이나 독감에 걸린 아이의 진료를 위해 병원을 찾았다.
일부 보호자들은 병원 내부에 설치된 TV에서 흘러나오는 전공의 집단 사직 관련 뉴스에 눈을 떼지 못했다.
40대 보호자 A씨는 “수도권 동네 병원에서 전공의 집단 사직에 맞춰 휴진하고 있다는 소식을 들었다”며 “다섯 살 둘째 딸이 잔병치레가 잦은데, 우리 동네 의원까지 휴진이 확산할까 걱정이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성인이 감기에 걸리면 보통 약을 먹거나 며칠만 버티면 완치되지만, 면역력이 약한 영·유아들은 아무 약이나 먹일 수 없지 않느냐”고 하소연했다.
일부 시민은 전공의들의 집단 행동에 분노를 드러내기도 했다.
30대 주부 B씨는 “의사가 환자를 두고 자리를 벗어나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지금까지 상황만 보면 의사들이 자신의 경제적 이익에 눈 먼 집단으로밖에 보이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한편 전공의 근무지 이탈 집단행동으로 인한 진료 피해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1일 오후 6시 기준 의사 집단행동 피해신고·지원센터에 신규로 접수된 피해 사례는 총 57건으로 수술 지연 44건, 진료 거절 6건, 진료예약 취소 5건, 입원 지연 2건 등이다.
정부는 진료·수술 지연 등으로 피해를 입은 국민을 대상으로 법률상담 서비스 등을 신속히 지원하고 있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