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 체포동의안 가결 ‘후폭풍’
계파 갈등 심화…광주·전남 정가 ‘격랑 속으로’
26일 법원 판단에 민주당 운명·정치 지형 좌우
26일 법원 판단에 민주당 운명·정치 지형 좌우
입력 : 2023. 09. 24(일) 19:06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체포동의안 가결로 텃밭인 광주·전남 지역 정가도 술렁이며 격랑 속으로 빠져들고 있다.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총선 공천권’과 ‘당내 주도권’을 놓고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 간의 힘겨루기로 계파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오는 26일 이 대표의 영장심사는 당의 운명과 지역 정치 지형을 가를 전망이다. 법원의 판단에 따라 ‘내홍 수습의 발판을 마련하느냐’, ‘계파 간 대충돌로 접어드느냐’로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24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국회는 지난 21일 본회의를 열고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가결했다. 재석 의원 298명 중 295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149명, 반대 136명, 기권 6명, 무효 4명으로 가결됐다.
찬성 당론을 정한 국민의힘, 정의당, 여권성향 의원이 모두 찬성표를 찍었다고 가정하면 민주당 의원 중에서는 29명이 찬성표를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월 부결 이후 7개월 만에 진행된 두 번째 체포동의안이 가결되면서 이 대표는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고, 민주당은 계파 갈등에 휩싸이고 있다.
당내에서는 가결의 책임을 지고 박광온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 지도부가 총사퇴키로 결정했고, 조정식 사무총장을 비롯한 산하 당직자들도 사의를 표했다.
지역 정가에서도 후폭풍으로 친명과 비명 사이에 진영 갈등이 노골화되고 있다.
비명계를 낮잡아 일컫는 ‘수박 의원’ 명단이 제작돼 오르내리고 있는가 하면, 가결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추정하는 실명도 SNS 등을 통해 퍼지고 있다.
또 일부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은 비명계에 ‘배신자’ 프레임을 씌우고 맹공을 가하면서 가결 책임을 현역 국회의원으로 돌리고 있다.
이들은 “당원들이 선출한 당대표를 지키지 못한 것은 해당 행위이자, 징계 대상이다”며 25일 민주당 광주시당을 찾아 항의하고, 위원장 사과와 사퇴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비명계로 분류되는 지역 국회의원들을 겨냥, 낙천·낙선운동에도 나설 태세다.
이런 가운데 26일 예정된 영장심사 결과에 따라 친명과 비명 간의 힘겨루기는 물론 지역 공천 지형에도 큰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구속될 경우에는 내년 총선과 차기 대선에 치명타를 안게 된다.
체포동의안 가결 후 몸을 낮추고 있는 비명계는 당장 지도부 총사퇴와 비상대책위 전환을 요구하며 본격적인 반격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이들은 당의 혁신과 통합을 주문하면서 새로운 지도 체제를 통해 당이 새롭게 거듭나야만 내년 총선에서 ‘그나마 해볼 수 있다’는 주장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영장이 기각될 경우에는 지역 내 친명계 인사들의 공천 가능성과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명계 ‘찍어내기’가 속도를 낼 수도 있다. 친명계는 비명계 국회의원 등을 상대로 체포동의안 가결에 대한 책임을 물어 공천 배제 등으로 압박의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이후 광주·전남 민심이 격랑 속으로 빠져 들고 있다”며 “친명과 비명 간의 갈등이나 민주당의 내홍은 26일 법원의 판단에 따라 극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양측의 물러섬 없는 극한 대립은 야권발 정계 개편론으로 번질 수도 있다”며 “총선을 6개월 앞두고 빚어지고 있는 지금의 갈등은 ‘공천권을 둘러싼 다툼’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면서 결국 지역민의 민심 이반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내년 4월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총선 공천권’과 ‘당내 주도권’을 놓고 친명(친이재명)계와 비명(비이재명)계 간의 힘겨루기로 계파 갈등이 극에 달하고 있다.
여기에 오는 26일 이 대표의 영장심사는 당의 운명과 지역 정치 지형을 가를 전망이다. 법원의 판단에 따라 ‘내홍 수습의 발판을 마련하느냐’, ‘계파 간 대충돌로 접어드느냐’로 갈릴 수 있기 때문이다.
24일 지역 정가에 따르면 국회는 지난 21일 본회의를 열고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을 가결했다. 재석 의원 298명 중 295명이 투표에 참여해 찬성 149명, 반대 136명, 기권 6명, 무효 4명으로 가결됐다.
찬성 당론을 정한 국민의힘, 정의당, 여권성향 의원이 모두 찬성표를 찍었다고 가정하면 민주당 의원 중에서는 29명이 찬성표를 찍은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2월 부결 이후 7개월 만에 진행된 두 번째 체포동의안이 가결되면서 이 대표는 정치적 위기에 직면했고, 민주당은 계파 갈등에 휩싸이고 있다.
당내에서는 가결의 책임을 지고 박광온 원내대표를 비롯한 원내 지도부가 총사퇴키로 결정했고, 조정식 사무총장을 비롯한 산하 당직자들도 사의를 표했다.
지역 정가에서도 후폭풍으로 친명과 비명 사이에 진영 갈등이 노골화되고 있다.
비명계를 낮잡아 일컫는 ‘수박 의원’ 명단이 제작돼 오르내리고 있는가 하면, 가결 찬성표를 던진 의원들을 추정하는 실명도 SNS 등을 통해 퍼지고 있다.
또 일부 이 대표 강성 지지층은 비명계에 ‘배신자’ 프레임을 씌우고 맹공을 가하면서 가결 책임을 현역 국회의원으로 돌리고 있다.
이들은 “당원들이 선출한 당대표를 지키지 못한 것은 해당 행위이자, 징계 대상이다”며 25일 민주당 광주시당을 찾아 항의하고, 위원장 사과와 사퇴 등을 촉구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비명계로 분류되는 지역 국회의원들을 겨냥, 낙천·낙선운동에도 나설 태세다.
이런 가운데 26일 예정된 영장심사 결과에 따라 친명과 비명 간의 힘겨루기는 물론 지역 공천 지형에도 큰 변화가 뒤따를 것으로 보인다.
이 대표가 구속될 경우에는 내년 총선과 차기 대선에 치명타를 안게 된다.
체포동의안 가결 후 몸을 낮추고 있는 비명계는 당장 지도부 총사퇴와 비상대책위 전환을 요구하며 본격적인 반격에 나설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특히 이들은 당의 혁신과 통합을 주문하면서 새로운 지도 체제를 통해 당이 새롭게 거듭나야만 내년 총선에서 ‘그나마 해볼 수 있다’는 주장을 펼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영장이 기각될 경우에는 지역 내 친명계 인사들의 공천 가능성과 목소리가 커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비명계 ‘찍어내기’가 속도를 낼 수도 있다. 친명계는 비명계 국회의원 등을 상대로 체포동의안 가결에 대한 책임을 물어 공천 배제 등으로 압박의 수위를 높일 것으로 보인다.
지역 정가 한 관계자는 “이 대표의 체포동의안이 가결된 이후 광주·전남 민심이 격랑 속으로 빠져 들고 있다”며 “친명과 비명 간의 갈등이나 민주당의 내홍은 26일 법원의 판단에 따라 극에 달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양측의 물러섬 없는 극한 대립은 야권발 정계 개편론으로 번질 수도 있다”며 “총선을 6개월 앞두고 빚어지고 있는 지금의 갈등은 ‘공천권을 둘러싼 다툼’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게 되면서 결국 지역민의 민심 이반을 불러올 수 있다”고 경고했다.
장승기 기자 sky@gwangnam.co.kr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