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교육 디지털 대전환 ‘아이넷 프로젝트’ 시동
도교육청, 에듀테크 기반 학력향상 4대 핵심과제 실현
"미래사회 능동적 대처… 창의성·인성 갖춘 인재 양성"
"미래사회 능동적 대처… 창의성·인성 갖춘 인재 양성"
입력 : 2023. 03. 13(월) 17:04

전남교육 디지털 대전환 ‘아이넷 프로젝트’ 개념도
전남도교육청이 미래교육 디지털 대전환을 위한 ‘아이넷(AE(I)-NET)’ 프로젝트를 가동한다.
도교육청은 13일 오전 열린 주요정책회의에서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학력 향상’을 통한 미래교육 디지털 대전환으로 ‘아이넷 프로젝트’를 가동해 실현하는 ‘전남교육 디지털 대전환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아이넷 프로젝트’는 △AI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 △디지털 전남교육 △디지털교육 인프라 △빅데이터 네트워크 등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향상을 위한 4대 핵심과제를 구현한다.
첫째는 AI교수·학습지원 시스템(AI)으로, 학생별 학습 수준 분석, 에듀테크 추천 등 에듀테크 교수 지원 서비스 및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자기주도적 AI튜터 학생서비스를 지원한다.
둘째는 ‘디지털 전남교육(Education)’이다.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AI·SW 교육 강화 및 디지털 교과서 중심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교수·학습을 지원한다.
셋째는 디지털 교육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이다. 이는 미래수업을 위한 에듀테크 공간 구축 및 기자재를 보급하고, 디지털 기반 업무 혁신으로 교원의 업무경감 및 효율성 제고를 이룬다.
넷째는 빅데이터 네트워크(NETwork) 구축이다.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위한 학습 빅데이터와 에듀테크 관련 수업을 도와주는 민관 상생의 빅데이터 네트워크로 구축한다.
도교육청은 이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서 간 협업이 중요하다고 보고, 신설된 미래교육과를 중심으로 정책기획과, 유초등교육과, 중등교육과, 창의융합교육원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각급 학교에 AI교실을 구축하고 기자재를 보급하는 등 AI 교육 기반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오는 2024년 상반기 중 ‘공생의 교육! 사람, 디지털, 생태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미래교육 박람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아이넷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사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이상적인 미래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중 도교육감은 “코로나19 상황의 비대면 교육에서 이미 경험했듯 이제 미래교육의 디지털 대전환은 시대적 흐름이자 대세가 됐다”면서 “특히 작은학교가 많은 우리 전남교육에는 디지털 대전환으로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낼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는다”고 말했다.
박준 미래교육과장은 “전남의 미래교육은 우리 아이들이 거침없이 상상하고, 두려움 없이 도전하면서 미래를 가꿔갈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학생 개개인에게 미래 역량을 키워주고, 창의력과 포용력을 갖춘 미래인재를 키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도교육청은 13일 오전 열린 주요정책회의에서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학력 향상’을 통한 미래교육 디지털 대전환으로 ‘아이넷 프로젝트’를 가동해 실현하는 ‘전남교육 디지털 대전환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에 따르면 ‘아이넷 프로젝트’는 △AI 교수·학습 지원 시스템 △디지털 전남교육 △디지털교육 인프라 △빅데이터 네트워크 등 에듀테크 기반 맞춤형 향상을 위한 4대 핵심과제를 구현한다.
첫째는 AI교수·학습지원 시스템(AI)으로, 학생별 학습 수준 분석, 에듀테크 추천 등 에듀테크 교수 지원 서비스 및 학습격차 해소를 위한 자기주도적 AI튜터 학생서비스를 지원한다.
둘째는 ‘디지털 전남교육(Education)’이다. 디지털 인재 양성을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AI·SW 교육 강화 및 디지털 교과서 중심 에듀테크를 활용한 미래교육 교수·학습을 지원한다.
셋째는 디지털 교육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이다. 이는 미래수업을 위한 에듀테크 공간 구축 및 기자재를 보급하고, 디지털 기반 업무 혁신으로 교원의 업무경감 및 효율성 제고를 이룬다.
넷째는 빅데이터 네트워크(NETwork) 구축이다. 학생들의 학습 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위한 학습 빅데이터와 에듀테크 관련 수업을 도와주는 민관 상생의 빅데이터 네트워크로 구축한다.
도교육청은 이 프로젝트를 효과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부서 간 협업이 중요하다고 보고, 신설된 미래교육과를 중심으로 정책기획과, 유초등교육과, 중등교육과, 창의융합교육원 등이 유기적으로 협력해나가기로 했다.
이와 함께 각급 학교에 AI교실을 구축하고 기자재를 보급하는 등 AI 교육 기반 구축에도 박차를 가하고, 오는 2024년 상반기 중 ‘공생의 교육! 사람, 디지털, 생태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주제로 ‘글로벌 미래교육 박람회’를 개최하기로 했다.
도교육청은 ‘아이넷 프로젝트’를 통해 미래사회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고, 창의성과 인성을 갖춘 이상적인 미래인재를 양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김대중 도교육감은 “코로나19 상황의 비대면 교육에서 이미 경험했듯 이제 미래교육의 디지털 대전환은 시대적 흐름이자 대세가 됐다”면서 “특히 작은학교가 많은 우리 전남교육에는 디지털 대전환으로 새로운 희망을 만들어낼 수 있겠다는 기대를 갖는다”고 말했다.
박준 미래교육과장은 “전남의 미래교육은 우리 아이들이 거침없이 상상하고, 두려움 없이 도전하면서 미래를 가꿔갈 수 있도록 방향을 설정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학생 개개인에게 미래 역량을 키워주고, 창의력과 포용력을 갖춘 미래인재를 키우고자 한다”고 말했다.
김인수 기자 joinus@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