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오염수 방류 계획에 반발 거세건만
여균수 주필
입력 : 2023. 03. 12(일) 18:18
[사설] 일본 정부의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 계획 철회를 요구하는 지역민들의 반발이 지속 되고 있다.

‘핵 없는 세상 광주전남 행동’은 지난 9일 기자회견문을 통해 “2011년 3월 11일 후쿠시마 핵 발전소 사고가 발생한 지 12년이 지났지만 핵 사고 재앙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며 “후쿠시마 핵 발전소 내 핵 연료 파편 수백t은 여전히 방사성 오염수, 핵폐기물을 만들어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녹아내린 핵 연료 파편 덩어리는 고방사선 방출로 접근과 상태 파악조차 쉽지 않다”며 “사고기점으로부터 수십㎞ 떨어진 곳에서는 여전히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지역 환경단체의 반발은 당연하다. 원전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막대한 환경재앙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오염수에 함유된 방사성 물질인 삼중수소는 인체 DNA를 구성하는 수소 자리에 들어가면 헬륨으로 변해 세포 사멸, 생식기능 저하 등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한다. 다양한 방사성 물질(핵종)들도 생물체 먹이사슬을 타고 축적, 피해를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방류가 실현될 경우 우리나라 연근해 어장은 쑥대밭이 될 수밖에 없다.

실제 원전사고가 발생한 후쿠시마현 인근 바다에서 잡힌 농어에서 방사성 물질 세슘이 1㎏ 당 85.5Bq(베크렐)이 검출되는 등 해양 생물 오염이 심각한 상항이다. 방류는 곧 어민 피해로 이어지게 되는 것이다.

일본 정부는 국제사회의 전문가들이 제시한 다양한 오염수 처리 방법을 경제적인 이유로 외면한 채 오염수 방류를 강행하려 하고 있다. 전세계 반대에도 일본 정부는 늦어도 올 7월에 방사성 오염수를 바다에 방류하겠다고 결정했다.

상황이 이럼에도 우리 정부의 대응은 너무 안일하다.

우리 어장 피해는 물론이고 환경파괴가 명백한 일본의 오염수 방류에 대해 우리 정부는 강경 대응한다는 입장을 명확히 밝히고 방류 결정 철회를 요구해야 한다.

후손에게 물려줄 청정한 자연유산을 경제성에 매몰된 일본 때문에 훼손시킬 수는 없다. 정부는 일본에 강력히 대응해야 한다.
여균수 기자 dangsannamu1@gwangnam.co.kr
사설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