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10명 중 8명 "코로나 세대"
취업 고민·목돈마련 계획 무산 등…빚 1300만원↑
입력 : 2021. 04. 08(목) 11:09
코로나19 세대라는 신조어가 등장한 가운데 사회적으로 장기적 문제가 될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예측됐다.
8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2030세대 2171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이 스스로를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세대라고 규정하는 이유는 구직자와 직장인의 이유가 조금씩 달랐다. 구직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을 못 하고 있어서(55.8%,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1위인 반면, 직장인은 비대면 전환, 디지털화 등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의 중심에 있어서(40.7%)가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세대(1,716명)를 관통하는 가장 큰 문제는 취업(49.1%, 복수응답)으로, 코로나19로 잃은 것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제난으로 목돈마련 계획 무산(37.2%), 개인의 미래 설계(36.8%), 인간관계(33.9%), 직장(실직)(15.2%), 연애(14.7%) 등을 잃었다고 답했다. 또한 이들의 71.9%는 실제 실직이나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있었다.
2030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8.1%)은 스스로를 IMF, 금융위기를 겪은 세대보다 더 암울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현재 시점 가장 우려되는 것은 감염우려(41.5%, 복수응답)였지만, 장래(32.3%), 생활비(32%), 취업실패(30.6%) 등 다소 암울한 상황들이 뒤를 이었다.
2030세대들 중 기존보다 부채가 늘었다고 답한 이들은 36%였다. 부채가 늘어난 이유는 수입이 줄어 생활비가 필요해서(63.4%, 복수응답)가 가장 컸고, 생계수단 유지를 위해서(공과금 등)(43.4%), 기존에 있던 빚을 갚기 위해서(17.7%), 해고가 돼서(13.1%)가 뒤를 이었다. 빚은 평균 1300만원가량 늘어났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38.5%는 코로나19 여파는 2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었다.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계속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21.8%, 최소 3년 지속은 20.9%인 것에 반해 올해 이내(2021년 연말)에 안정될 것이라는 답은 18.8%로 가장 적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본인의 의지나 노력 여부와 관계없이 사회 첫 진출을 하지 못하거나, 해고·고용불안 등을 경험한 코로나19 세대들이 늘어나게 되면 이는 장기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될 확률이 높다”며 “정책 차원의 사회적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고, 특히 첫 취업에 진입하는 20대들의 안정적인 고용을 지원하는데 정부의 노력이 집중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8일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 사람인에 따르면 2030세대 2171명을 대상으로 ‘스스로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지’ 조사한 결과 전체 응답자 10명 중 8명(79%)이 스스로를 코로나19 세대라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 세대라고 규정하는 이유는 구직자와 직장인의 이유가 조금씩 달랐다. 구직자는 코로나19 영향으로 취업을 못 하고 있어서(55.8%, 복수응답)라는 답변이 1위인 반면, 직장인은 비대면 전환, 디지털화 등 코로나19로 인한 변화의 중심에 있어서(40.7%)가 가장 많았다.
코로나19 세대(1,716명)를 관통하는 가장 큰 문제는 취업(49.1%, 복수응답)으로, 코로나19로 잃은 것 1위를 차지했다. 이어 경제난으로 목돈마련 계획 무산(37.2%), 개인의 미래 설계(36.8%), 인간관계(33.9%), 직장(실직)(15.2%), 연애(14.7%) 등을 잃었다고 답했다. 또한 이들의 71.9%는 실제 실직이나 고용 불안에 시달리고 있었다.
2030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58.1%)은 스스로를 IMF, 금융위기를 겪은 세대보다 더 암울하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또, 현재 시점 가장 우려되는 것은 감염우려(41.5%, 복수응답)였지만, 장래(32.3%), 생활비(32%), 취업실패(30.6%) 등 다소 암울한 상황들이 뒤를 이었다.
2030세대들 중 기존보다 부채가 늘었다고 답한 이들은 36%였다. 부채가 늘어난 이유는 수입이 줄어 생활비가 필요해서(63.4%, 복수응답)가 가장 컸고, 생계수단 유지를 위해서(공과금 등)(43.4%), 기존에 있던 빚을 갚기 위해서(17.7%), 해고가 돼서(13.1%)가 뒤를 이었다. 빚은 평균 1300만원가량 늘어났다.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응답자의 38.5%는 코로나19 여파는 2년간 지속될 것이라고 보고 있었다. 장기적으로 부정적 영향을 계속 줄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21.8%, 최소 3년 지속은 20.9%인 것에 반해 올해 이내(2021년 연말)에 안정될 것이라는 답은 18.8%로 가장 적었다.
임민욱 사람인 팀장은 “본인의 의지나 노력 여부와 관계없이 사회 첫 진출을 하지 못하거나, 해고·고용불안 등을 경험한 코로나19 세대들이 늘어나게 되면 이는 장기적인 사회문제로 대두될 확률이 높다”며 “정책 차원의 사회적 안전장치 마련이 시급하고, 특히 첫 취업에 진입하는 20대들의 안정적인 고용을 지원하는데 정부의 노력이 집중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채경 기자 view2018@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