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민 영유아 무료 예방접종 ‘몰라서’ 놓친다
홍보 부족·언어 장벽·정보 단절 등 접근성 부족
필수예방접종률 55.2% 수준…적극적 홍보 필요
필수예방접종률 55.2% 수준…적극적 홍보 필요
입력 : 2025. 11. 18(화) 18:49
본문 음성 듣기
가가
# 30대 카자흐스탄 이주 여성 A씨는 몇 주 전 두살배기 아이의 인플루엔자 예방 접종을 위해 병원을 찾았다. 접종 비용은 3만5000원을 지급했다. 하지만 A씨는 최근 지인을 통해 보건소에서 영유아를 대상으로 무료 접종이 이뤄지고 있다는 사실을 전해 들었다. A씨는 “이주민을 위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광주·전남 지역 이주민 영유아들이 국가 필수예방접종 제도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내국인과 동일하게 필수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정보·홍보 부족과 언어 장벽, 보건소 접근성 문제 등으로 무료 접종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8일 질병관리청의 ‘2025년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에 따르면 정부는 12세 이하 어린이에게 18종의 필수예방접종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다.
결핵과 A·B형 간염, 파상풍, 백일해, 인플루엔자, 홍역 등 13개 항목이 주요 대상이다. 이 지원은 외국 국적 영유아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미등록 외국인의 경우에도 보건소에서 예방접종내역 관리를 위한 ‘임시관리번호’를 발급받으면 전국 보건소와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 홍보 부족 등의 이유로 관련 제도를 인지하지 못하는 이주 외국인이 많아 실질적인 의료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비영리 공익재단 ‘아름다운재단’이 비수도권에 거주하며 부모가 모두 외국 국적인 이주민 영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이주민 영유아 건강권 실태조사’에서 1세 이주민 영유아의 필수예방접종률은 55.2%에 불과했다.
내국인 아동의 접종률(96.4%)과 비교하면 41.2% 낮은 수치다. 2세 이주민 영유아의 접종률도 66.7%에 그쳤다.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유로는 ‘어디서 받을 수 있는지 몰라서’가 8.3%, ‘언제 받아야 하는지 몰라서’가 19.3%, ‘정보가 없어서’가 3.6% 등 정보 부족이 31.3%나 됐다. 비용 부담을 이유로 꼽은 비율은 8.3%였다.
무료 접종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비용을 내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각 자치구는 이주민 영유아에 대한 별도의 관리체계 없이 지역 내 전체 영유아를 대상으로 통합 안내를 하고 있다.
생후 1년 이내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아동에게는 유선으로 임시관리번호 발급을 안내하거나 문자로 접종을 독려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광주·전남지역은 전달 체계 취약 등 지역적·구조적 한계로 정책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농업과 산단에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높은 탓에 정보 접근성이 더 떨어지고, 대중교통 등 교통인프라가 부족한 점도 이를 부추기고 있다. 아울러 다국어 홍보물, 통역 지원, 현장 상담 등의 지원이 이뤄지더라도 일부 지역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이주민에 대한 의료 접근성 강화를 정책의 우선 순위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단순한 웹사이트 안내가 아니라 지역사회와 이주민 커뮤니티를 통한 맞춤형 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선택 접종 백신을 맞거나 지정되지 않은 의료기관을 이용하면서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주민들은 필수예방접종 제도 자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임신·출산 시 병원에서 들은 정보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그 과정에서 정보 단절이 생긴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주민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광주·전남 지역 이주민 영유아들이 국가 필수예방접종 제도의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부가 내국인과 동일하게 필수예방접종 비용을 지원하고 있지만, 정보·홍보 부족과 언어 장벽, 보건소 접근성 문제 등으로 무료 접종 혜택을 누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18일 질병관리청의 ‘2025년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리지침’에 따르면 정부는 12세 이하 어린이에게 18종의 필수예방접종 비용을 전액 지원하고 있다.
결핵과 A·B형 간염, 파상풍, 백일해, 인플루엔자, 홍역 등 13개 항목이 주요 대상이다. 이 지원은 외국 국적 영유아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특히 미등록 외국인의 경우에도 보건소에서 예방접종내역 관리를 위한 ‘임시관리번호’를 발급받으면 전국 보건소와 위탁의료기관에서 무료 접종을 받을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업 홍보 부족 등의 이유로 관련 제도를 인지하지 못하는 이주 외국인이 많아 실질적인 의료 서비스 이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비영리 공익재단 ‘아름다운재단’이 비수도권에 거주하며 부모가 모두 외국 국적인 이주민 영유아 가정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이주민 영유아 건강권 실태조사’에서 1세 이주민 영유아의 필수예방접종률은 55.2%에 불과했다.
내국인 아동의 접종률(96.4%)과 비교하면 41.2% 낮은 수치다. 2세 이주민 영유아의 접종률도 66.7%에 그쳤다.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이유로는 ‘어디서 받을 수 있는지 몰라서’가 8.3%, ‘언제 받아야 하는지 몰라서’가 19.3%, ‘정보가 없어서’가 3.6% 등 정보 부족이 31.3%나 됐다. 비용 부담을 이유로 꼽은 비율은 8.3%였다.
무료 접종 대상임에도 불구하고 비용을 내는 사례도 적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각 자치구는 이주민 영유아에 대한 별도의 관리체계 없이 지역 내 전체 영유아를 대상으로 통합 안내를 하고 있다.
생후 1년 이내 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아동에게는 유선으로 임시관리번호 발급을 안내하거나 문자로 접종을 독려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광주·전남지역은 전달 체계 취약 등 지역적·구조적 한계로 정책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분석이다.
농업과 산단에 외국인 노동자 비중이 높은 탓에 정보 접근성이 더 떨어지고, 대중교통 등 교통인프라가 부족한 점도 이를 부추기고 있다. 아울러 다국어 홍보물, 통역 지원, 현장 상담 등의 지원이 이뤄지더라도 일부 지역은 제외되는 경우가 많다.
이에 정부와 지자체가 이주민에 대한 의료 접근성 강화를 정책의 우선 순위로 삼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단순한 웹사이트 안내가 아니라 지역사회와 이주민 커뮤니티를 통한 맞춤형 소통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한 자치구 관계자는 “선택 접종 백신을 맞거나 지정되지 않은 의료기관을 이용하면서 비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주민들은 필수예방접종 제도 자체를 잘 모르기 때문에 임신·출산 시 병원에서 들은 정보에만 의존하는 경우가 많고, 그 과정에서 정보 단절이 생긴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주민의 의료 접근성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사업을 발굴하도록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윤용성 기자 yo1404@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