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국내 첫 분산특구 확정…에너지 산업 탄력
해남·영암에 데이터센터 유치…지역내 생산·소비 연계
인공지능 기반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기술도 실증 예정
도, 첨단기업 투자유치 속도…‘AI 에너지 신도시’ 조성
인공지능 기반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기술도 실증 예정
도, 첨단기업 투자유치 속도…‘AI 에너지 신도시’ 조성
입력 : 2025. 11. 05(수) 18:23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전남도 전 지역이 국내 첫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으로 최종 확정됐다. 에너지를 사용할 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이른바 ‘지산지소(地産地消)’ 체계 구축이 가능해 지면서,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첨단 에너지산업 유치에 한층 더 탄력이 붙을 전망이다.
정부는 5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전국 최초로 전남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확정(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에너지위원회에서 지난 5월 최종 후보지에 오른 7곳을 심의한 결과 전남(전역)을 비롯해 제주(전역), 부산(강서), 경기(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로 최종 확정했다.
이들 4곳은 앞서 최종 후보지 발표 시 ‘신산업 활성화 유형’으로 분류된 곳들이다.
신산업 활성화 유형은 ‘분산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연계하고 특구에 부여되는 특례를 이용해 신산업을 발굴하는 게 주요 골자다.
분산에너지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공간·지역 또는 인근에서 생산하는 일정 규모 이하 에너지로 재생에너지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포함한 설비용량 40MW(메가와트) 이하 모든 발전설비와 500MW 이하 집단에너지 발전설비 등이 해당한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할 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이른바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입됐다. 해안에 대형 발전소를 짓고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대규모 송전망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들에 공급하는 현재 중앙집중식 에너지 공급체계가 일으키는 문제를 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산에너지 특구 내 분산에너지 사업자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전력을 팔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을 한국전력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분산 에너지 특구가 되면 ‘지역에서 생산한 값싼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에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첨단산업 유치가 한결 수월해진다.
태양광 보급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지만 계통 부족으로 출력제어가 빈번한 전남은 이번 특구 선정으로 태양광 발전이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 내 생산·소비를 연계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기술을 실증할 예정이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99.6%(호수 기준)가 위치한 배전망에 에너지 정장장치(ESS)를 보급해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최소화 하면서 배전망 운영을 효율화 하는 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이번 특구 선정이 계통포화 문제로 출력 제약을 받아온 재생에너지 발전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고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남도는 국내외 첨단기업 유치를 위한 투자유치 활동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해남 구성지구에는 AI 슈퍼 데이터클러스터 허브를 중심으로 첨단산업·에너지·교육·주거 인프라를 집약한 ‘솔라시도 AI 에너지 신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영암 삼호·삼포지구에는 인근 해상풍력 배후단지와 연계해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 국내 해상풍력 산업생태계 중추적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미래 첨단산업 유치를 위해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20년간 투자해왔지만, 지역적 한계로 투자 유치가 미흡했다”며 “분산특구 지정을 계기로, 전기가 있는 곳에 기업을 유치하는 획기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이번이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할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솔라시도 분산특구 성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5일 김성환 기후에너지환경부장관 주재로 제36차 에너지위원회를 열어 전국 최초로 전남의 분산에너지 특화지역 지정을 확정(의결)했다.
정부는 이날 에너지위원회에서 지난 5월 최종 후보지에 오른 7곳을 심의한 결과 전남(전역)을 비롯해 제주(전역), 부산(강서), 경기(의왕) 등 4곳을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로 최종 확정했다.
이들 4곳은 앞서 최종 후보지 발표 시 ‘신산업 활성화 유형’으로 분류된 곳들이다.
신산업 활성화 유형은 ‘분산에너지와 정보통신기술(ICT)을 활용·연계하고 특구에 부여되는 특례를 이용해 신산업을 발굴하는 게 주요 골자다.
분산에너지는 에너지를 사용하는 공간·지역 또는 인근에서 생산하는 일정 규모 이하 에너지로 재생에너지와 소형모듈원자로(SMR) 등을 포함한 설비용량 40MW(메가와트) 이하 모든 발전설비와 500MW 이하 집단에너지 발전설비 등이 해당한다.
분산에너지 특구는 에너지를 사용할 곳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이른바 ‘지산지소’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도입됐다. 해안에 대형 발전소를 짓고 여기서 생산한 전기를 대규모 송전망으로 수도권과 대도시들에 공급하는 현재 중앙집중식 에너지 공급체계가 일으키는 문제를 완화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산에너지 특구 내 분산에너지 사업자는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사용자에게 직접 전력을 팔 수 있다. 또한 전기요금을 한국전력과 달리 설정할 수도 있다.
분산 에너지 특구가 되면 ‘지역에서 생산한 값싼 전기를 공급받을 수 있다’는 장점 때문에에 데이터센터 등 전력 수요가 많은 첨단산업 유치가 한결 수월해진다.
태양광 보급률이 전국에서 가장 높지만 계통 부족으로 출력제어가 빈번한 전남은 이번 특구 선정으로 태양광 발전이 밀집한 해남·영암 지역에 데이터센터를 유치해 지역 내 생산·소비를 연계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소규모 독립형 전력망 기술을 실증할 예정이다.
또한 재생에너지의 99.6%(호수 기준)가 위치한 배전망에 에너지 정장장치(ESS)를 보급해 재생에너지 접속대기 물량을 최소화 하면서 배전망 운영을 효율화 하는 사업도 추진할 방침이다.
전남도는 이번 특구 선정이 계통포화 문제로 출력 제약을 받아온 재생에너지 발전 문제 해결의 실마리가 되고 에너지 기본소득 실현과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에도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전남도는 국내외 첨단기업 유치를 위한 투자유치 활동에 본격 나설 방침이다. 해남 구성지구에는 AI 슈퍼 데이터클러스터 허브를 중심으로 첨단산업·에너지·교육·주거 인프라를 집약한 ‘솔라시도 AI 에너지 신도시’를 조성할 계획이다.
영암 삼호·삼포지구에는 인근 해상풍력 배후단지와 연계해 ’해상풍력 기자재 산업 클러스터‘를 구축, 국내 해상풍력 산업생태계 중추적 거점으로 육성한다는 구상이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미래 첨단산업 유치를 위해 솔라시도 기업도시에 20년간 투자해왔지만, 지역적 한계로 투자 유치가 미흡했다”며 “분산특구 지정을 계기로, 전기가 있는 곳에 기업을 유치하는 획기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이번이 국가균형발전을 실현할 마지막 기회라는 각오로 솔라시도 분산특구 성공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