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다문화학생 학교폭력 피해 ‘증가세’…맞춤형 대책 시급
이재태 도의원 "언어장벽·고립 속 침묵 강요…일반정책으론 한계"
입력 : 2025. 11. 05(수) 09:20
본문 음성 듣기
전남지역 다문화학생의 학교폭력 피해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음에도 전담 대응체계가 부재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특히 언어폭력과 신체폭력 피해가 매년 반복되는 가운데, 다문화학생을 위한 별도의 신고·상담·회복지원 시스템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남도의회 이재태 의원(더불어민주당·나주3)은 4일 전라남도교육청 행정사무감사에서 “다문화학생 학교폭력 피해에 대한 특화된 대응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며 구체적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전남도교육청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도내 다문화학생의 학교폭력 피해 학생 수는 2023학년도 153명, 2024학년도 130명, 2025학년도(9월 기준) 77명으로 집계됐다.

이 의원은 “2025년 수치가 9월 기준임에도 이미 전년의 59% 수준에 달해 연말에는 오히려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며 “은폐나 미신고 사례를 감안하면 실제 피해는 더 많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피해 유형은 언어폭력과 신체폭력이 3년 연속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사이버폭력 역시 매년 발생하고 있으나, 전남도교육청은 다문화학생을 위한 전담 신고창구나 통역상담 체계, 전문상담 인력 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다.

특히 학교급별로는 중학생 피해 비율이 2025학년도 기준 47%(28명)로 가장 높았지만, 중학교 대상의 예방·회복 프로그램이나 다문화 전문상담사 배치 등 실질적 대응은 전무한 실정이다.

이 의원은 이에 대한 대안으로 △다문화학생 학교폭력 통계의 분리 관리 △중학교 중심 집중관리 체계 구축 △온라인·다국어 신고 플랫폼 마련 △전담 상담인력 배치 △피해학생 사후 회복 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을 제안했다.

그는 “다문화학생은 언어 장벽과 문화적 고립 속에서 침묵을 강요받고 있다”며 “전남교육청은 평균적 학생 기준의 일반 정책에서 벗어나, 다문화학생을 위한 맞춤형 보호체계로 전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김영신 전남도교육청 교육국장은 “다문화학생을 대상으로 특화된 학교폭력 예방 프로그램을 마련하고, 전문상담사 인원 확충 및 지역별 현황 관리를 강화하겠다”고 답변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지방의회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