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전남도 신재생에너지 전략거점 거듭나길
입력 : 2025. 07. 01(화) 18:28

전남도가 빠른 속도로 신재생에너지 전략거점도시가 되고 있다고 한다. 정부의 ‘친환경 재생에너지로의 대전환’기조속에 최근 2.6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 허가를 추가로 받는 등 관련 사업이 속도를 내고 있어서다.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7일 제313차 전기위원회 심의를 열고 신안 블루자은, 신안 케이윈드파워, 여수 이순신1 등 2.6GW 규모의 서남해 해역 7개 해상풍력 사업의 발전사업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전남의 해상풍력 누적 허가 규모는 기존 18.7GW에서 21.3GW로 늘어났다. 이는 전국 발전사업 허가량 34.8GW 중 61%에 해당하는 수치다.
당초 해상 풍력 보급 목표가 여수 9GW, 고흥 4GW, 영광 5GW, 해남 0.3GW, 진도 2.3GW, 완도 1.2GW, 신안 8.2GW 등 30GW 규모인데 이번 승인으로 보급률이 71%까지 된 것이다. 전남도 신에너지 구상이 실질적 개발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 전남은 수치 등 모든 면에서 명실상부한 에너지 전환 선도 지역이다. 전국 태양광 발전설비의 20%, 풍력 설비의 45%를 차지하며 모두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신안 해역에서 진행 중인 8.2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48조 원이 넘는 민간 자본이 투입되는 국내 최대 단일 프로젝트로 일부 단지는 올해 말 시운전을 거쳐 내년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부의 ‘친환경 재생에너지 정책’도 여기에 가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전남을 ‘에너지 전환의 테스트베드’로 지목하며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 , RE100 실현,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을 공약한 바 있다. 현재 이들 과제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공식 추진 중이거나, 검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해상 풍력이 지속 가능한 발전이 되기 위해서는 송전망 확충, 해양 생태계 보전, 주민 수용성 확보, 인허가 간소화 등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한다.
전남도가 앞으로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모델인 ‘바람연금’ ‘햇빛연금’을 확대하고, 정부와의 정책 조율을 통해 문제점을 하나둘씩 개선해 나가길 바란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지난달 27일 제313차 전기위원회 심의를 열고 신안 블루자은, 신안 케이윈드파워, 여수 이순신1 등 2.6GW 규모의 서남해 해역 7개 해상풍력 사업의 발전사업을 허가했다.
이에 따라 전남의 해상풍력 누적 허가 규모는 기존 18.7GW에서 21.3GW로 늘어났다. 이는 전국 발전사업 허가량 34.8GW 중 61%에 해당하는 수치다.
당초 해상 풍력 보급 목표가 여수 9GW, 고흥 4GW, 영광 5GW, 해남 0.3GW, 진도 2.3GW, 완도 1.2GW, 신안 8.2GW 등 30GW 규모인데 이번 승인으로 보급률이 71%까지 된 것이다. 전남도 신에너지 구상이 실질적 개발로 이어지고 있는 셈이다.
실제 전남은 수치 등 모든 면에서 명실상부한 에너지 전환 선도 지역이다. 전국 태양광 발전설비의 20%, 풍력 설비의 45%를 차지하며 모두 1위를 기록하고 있다.
특히 신안 해역에서 진행 중인 8.2GW 규모의 해상풍력 프로젝트는 48조 원이 넘는 민간 자본이 투입되는 국내 최대 단일 프로젝트로 일부 단지는 올해 말 시운전을 거쳐 내년부터 상업운전에 들어갈 예정이다.
정부의 ‘친환경 재생에너지 정책’도 여기에 가세하고 있다.
이 대통령은 후보 시절 전남을 ‘에너지 전환의 테스트베드’로 지목하며 친환경 재생에너지 대전환 , RE100 실현, 기후에너지부 신설 등을 공약한 바 있다. 현재 이들 과제는 새 정부의 국정과제로 공식 추진 중이거나, 검토 단계에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아직까지 해상 풍력이 지속 가능한 발전이 되기 위해서는 송전망 확충, 해양 생태계 보전, 주민 수용성 확보, 인허가 간소화 등 넘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다고 한다.
전남도가 앞으로 주민참여형 이익공유 모델인 ‘바람연금’ ‘햇빛연금’을 확대하고, 정부와의 정책 조율을 통해 문제점을 하나둘씩 개선해 나가길 바란다.
김상훈 기자 goart00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