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 군공항 이전 최적지는 무안 망운·운남면"
광주·전남연구원 토론회서 첫 공개…무안공항 인근 1.9㎞
해안지역으로 내륙보다 소음피해 적어 공항 입지에 적합
무안 전체면적 4.2%, 85웨클 이상 소음 피해 영향권 진단
해안지역으로 내륙보다 소음피해 적어 공항 입지에 적합
무안 전체면적 4.2%, 85웨클 이상 소음 피해 영향권 진단
입력 : 2024. 04. 24(수) 19:07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 시 소음 대책 마련 토론회가 24일 무안군 초당대에서 열리고 있다. 사진제공=광주시
광주 군 공항이 이전 할 경우 최적지는 무안공항 민간활주로에서 1.9㎞ 가량 떨어진 무안군 ‘망운·운남’ 2개면이라는 분석 결과가 처음 공개됐다. 2개 지역은 해안 지역으로 내륙보다 소음 피해가 적고 공항 입지나 군사작전에도 적합한 지역으로 평가됐다. 광주 군 공항이 무안공항으로 이전 시 소음영향권은 무안 전체 면적의 4.2%, 주민 1만여명이 소음 영향권에서 생활하게 될 것으로 예측됐다.
광주시, 전남도, 국방부 및 시·도 지방시대위원회는 광주·전남 연구원과 함께 24일 무안군 초당대학교 국제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소음대책 및 지원방안’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토론회는 지난해 12월 17일 광주시와 전남도의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추진 공동합의문’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로, 관련 기관들이 수 차례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토론회에서 양철수 광주연구원 매력도시연구실장은 ‘소음 대책 및 지원방안’, 신동훈 전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장은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시 주변지역 발전 구상’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양 실장은 1주제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시 소음대책 및 지원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무안민간공항 내에 들어설 군 공항 위치와 소음 피해 예상지역을 전망했다. 발표자료는 공항 전문가, 군 등 관련 기관이 숙의·검토 과정을 거쳐 공개됐다.
양 실장은 “광주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여건은 군사 작전과 공항 입지 적합성이다”며 “광주 군 공항이 이전 할 경우 최적지는 무안공항 민간활주로에서 1.9㎞ 떨어진 해안가 무안군 망운·운남 2개면이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개 지역은 해안가에 있어 소음피해가 적을 수 있고 공항 입지나 군사작전에도 대체로 적합했다”고 진단했다.
소음 피해 예상지역과 관련해서는 “광주 군 공항이 무안공항으로 이전할 경우 소음영향권(85웨클 이상)은 무안 운남면(12.3㎢)·망운면(5.8㎢)·현경면(0.9㎢)으로 전체 면적 450.4㎢의 4.2%인 19㎢이다. 무안 주민 1만여명이 소음영향권에서 생활하게 될 것으로 예상 된다”며 “소음 피해를 줄이고자 광주 군 공항(8.2㎢)보다 1.4배 넓은 군 공항, 소음 완충지역 부지(3.6㎢)에 85웨클 이상 소음 영향이 예상되는 5.7㎢ 토지를 보상해 추가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동훈 전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장은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시 주변지역 발전 구상’을 주제로 지원 방안을 언급했다.
신 실장은 “무안국제공항 인근은 해안지역으로 내륙보다 소음피해 최소화가 가능하다”며 “국제선만 운항 중인 무안국제공항은 국내선과 연계 결여로 많은 제약을 받고 있기 때문에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광주 공항 이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안국제공항과 연계한 전남 서남권 발전과 관련해서는 “무안국제공항은 이미 국가계획에도 광주 민간 공항과 통합해 서남권 중심 공항으로 활용하기로 했다”면서 “추가 인프라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항공 정비 수요 확보, MRO 산단 등 지역 미래 먹거리 육성에도 효율적이다”고 내다봤다.
주제 발표에 이어 최치국 광주연구원을 좌장으로 나주몽 전남대 교수, 김제철 전 한서대 교수, 김주석 대구정책연구원 공간교통연구실장 등의 전문가가 참석해 정책, 시설운영, 소음, 지역개발 등 4개 분야의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무안국제공항 인근은 낮은 주거 밀집도와 항공기 이착륙 경로가 해상인 점을 들어 소음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무안군 인구의 약 63%가 거주하는 삼향·일로읍의 경우 소음피해는 거의 없고 개발이익과 지원사업에 대한 혜택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민들이 가장 우려하는 소음피해 부분에 대해서도 인구밀도 고려, 활주로 방향 조정, 소음완충지역 최대 확보, 비행훈련 시간 조정 등 군 공항 이전 때 입지·설계·시공·운용 등 단계별로 대책을 마련하면 상당부분 저감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광주 군 공항이전 특별법’을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수준으로 개정해 이주정착특별지원금, 생활안정특별지원금 등 추가 특전(인센티브) 지급 필요성도 제기됐다.
전남도가 지난해 발표한 3조 원 규모의 무안군 미래 발전 비전인 항공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한 공항복합도시, 최첨단 화합물 반도체산업 생태계 및 인공지능(AI) 첨단 농산업 융복합 지구 조성 등과 같은 미래 먹거리 산업을 구체화해 무안 중심의 서남권 발전 구심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밖에도 이날 토론회에서는 무안군민 등 광주·전남 시도민이 참석해 다양한 질문과 건의가 쏟아져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광주시·전남도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가 군 공항 이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왜곡된 정보를 바로잡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에 대한 찬반을 떠나 주민들에게 객관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공론의 장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은 열악한 무안국제공항을 조속히 활성화해 서남권의 경제발전을 견인할 수 있고, 광주시는 오랜 숙원을 해결할 수 있어 상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군 공항 주변지역 소음피해에 대한 우려로 지역 주민들의 반대도 이어지고 있다.
광주시, 전남도, 국방부 및 시·도 지방시대위원회는 광주·전남 연구원과 함께 24일 무안군 초당대학교 국제회의실에서 이 같은 내용이 포함된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소음대책 및 지원방안’ 토론회를 가졌다.
이날 토론회는 지난해 12월 17일 광주시와 전남도의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추진 공동합의문’ 발표에 따른 후속 조치로, 관련 기관들이 수 차례 협의를 거쳐 마련됐다.
토론회에서 양철수 광주연구원 매력도시연구실장은 ‘소음 대책 및 지원방안’, 신동훈 전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장은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시 주변지역 발전 구상’을 주제로 각각 발표했다.
양 실장은 1주제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시 소음대책 및 지원방안’에 대한 발표를 통해 무안민간공항 내에 들어설 군 공항 위치와 소음 피해 예상지역을 전망했다. 발표자료는 공항 전문가, 군 등 관련 기관이 숙의·검토 과정을 거쳐 공개됐다.
양 실장은 “광주 군 공항 예비 이전 후보지를 선정하는 데 가장 중요한 여건은 군사 작전과 공항 입지 적합성이다”며 “광주 군 공항이 이전 할 경우 최적지는 무안공항 민간활주로에서 1.9㎞ 떨어진 해안가 무안군 망운·운남 2개면이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2개 지역은 해안가에 있어 소음피해가 적을 수 있고 공항 입지나 군사작전에도 대체로 적합했다”고 진단했다.
소음 피해 예상지역과 관련해서는 “광주 군 공항이 무안공항으로 이전할 경우 소음영향권(85웨클 이상)은 무안 운남면(12.3㎢)·망운면(5.8㎢)·현경면(0.9㎢)으로 전체 면적 450.4㎢의 4.2%인 19㎢이다. 무안 주민 1만여명이 소음영향권에서 생활하게 될 것으로 예상 된다”며 “소음 피해를 줄이고자 광주 군 공항(8.2㎢)보다 1.4배 넓은 군 공항, 소음 완충지역 부지(3.6㎢)에 85웨클 이상 소음 영향이 예상되는 5.7㎢ 토지를 보상해 추가 확보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신동훈 전남연구원 공간환경연구실장은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시 주변지역 발전 구상’을 주제로 지원 방안을 언급했다.
신 실장은 “무안국제공항 인근은 해안지역으로 내륙보다 소음피해 최소화가 가능하다”며 “국제선만 운항 중인 무안국제공항은 국내선과 연계 결여로 많은 제약을 받고 있기 때문에 무안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광주 공항 이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무안국제공항과 연계한 전남 서남권 발전과 관련해서는 “무안국제공항은 이미 국가계획에도 광주 민간 공항과 통합해 서남권 중심 공항으로 활용하기로 했다”면서 “추가 인프라 구축 비용을 최소화하고 항공 정비 수요 확보, MRO 산단 등 지역 미래 먹거리 육성에도 효율적이다”고 내다봤다.
주제 발표에 이어 최치국 광주연구원을 좌장으로 나주몽 전남대 교수, 김제철 전 한서대 교수, 김주석 대구정책연구원 공간교통연구실장 등의 전문가가 참석해 정책, 시설운영, 소음, 지역개발 등 4개 분야의 열띤 토론을 이어갔다.
전문가들은 무안국제공항 인근은 낮은 주거 밀집도와 항공기 이착륙 경로가 해상인 점을 들어 소음이 다른 지역에 비해 적을 것으로 예상했다. 또 무안군 인구의 약 63%가 거주하는 삼향·일로읍의 경우 소음피해는 거의 없고 개발이익과 지원사업에 대한 혜택이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주민들이 가장 우려하는 소음피해 부분에 대해서도 인구밀도 고려, 활주로 방향 조정, 소음완충지역 최대 확보, 비행훈련 시간 조정 등 군 공항 이전 때 입지·설계·시공·운용 등 단계별로 대책을 마련하면 상당부분 저감 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다. 또 ‘광주 군 공항이전 특별법’을 ‘대구경북신공항 특별법’ 수준으로 개정해 이주정착특별지원금, 생활안정특별지원금 등 추가 특전(인센티브) 지급 필요성도 제기됐다.
전남도가 지난해 발표한 3조 원 규모의 무안군 미래 발전 비전인 항공국가산업단지와 연계한 공항복합도시, 최첨단 화합물 반도체산업 생태계 및 인공지능(AI) 첨단 농산업 융복합 지구 조성 등과 같은 미래 먹거리 산업을 구체화해 무안 중심의 서남권 발전 구심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이 밖에도 이날 토론회에서는 무안군민 등 광주·전남 시도민이 참석해 다양한 질문과 건의가 쏟아져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여줬다.
광주시·전남도 관계자는 “이번 토론회가 군 공항 이전에 대한 지역민들의 왜곡된 정보를 바로잡는 계기가 됐길 바란다”며 “앞으로도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에 대한 찬반을 떠나 주민들에게 객관적인 정보제공을 위한 공론의 장 마련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주 민간·군 공항 통합 이전’은 열악한 무안국제공항을 조속히 활성화해 서남권의 경제발전을 견인할 수 있고, 광주시는 오랜 숙원을 해결할 수 있어 상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됐다. 하지만 군 공항 주변지역 소음피해에 대한 우려로 지역 주민들의 반대도 이어지고 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