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종 도의원 "한빛 1·2호기 수명연장계획 재검토돼야"
노후화 심각·안전 불안…"주민 의견 수렴 숙의과정 필요"
입력 : 2023. 03. 16(목) 18:06

박원종 전남도의원
박원종 전남도의원(더불어민주당·영광1)은 16일 “한빛 원자력발전소 1·2호기 수명연장 계획에 대해 전면 재검토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의원은 이날 열린 제36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누후화로 인해 오는 2025년과 2026년 각각 발전을 종료 예정이었던 한빛원전 1호기, 2호기가 지난 1월 13일 열린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오는 2036년까지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대폭 확대하기로 하면서 폐로 대상에서 제외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이제 수명이 다해가는 원전으로 인식되고 있는 한빛 1·2호기에 대해서 별다른 조치 없이 수명 연장이라는 독단적인 결정을 내려 국민 안전과 원전 안전은 전혀 관심 없이 국가 전력 수급 대책이라는 명분만을 내세우며 밀어부치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적 폭력이며 주민을 무시하고 기만하는 행위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빛원전 1·2호기는 지난 2012년 가짜부품 사건으로 인해 원자력 발전과 지역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했고, 2019년 1호기 제어봉 낙하 사고와 2호기 증기발생기 문제 발생 등 지금까지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다”며 “주민들은 안전에 대한 불안과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가득한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또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백지화하고 민주주의 국가로서 주민의 의견부터 수렴하는 숙의과정을 요구한다”며 “전남도도 이 문제에 더욱 관심을 두고 도민과 지방정부의 의견이 정책 수립 시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법안 개정 요구 등에 함께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날 열린 제369회 임시회 제2차 본회의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누후화로 인해 오는 2025년과 2026년 각각 발전을 종료 예정이었던 한빛원전 1호기, 2호기가 지난 1월 13일 열린 제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오는 2036년까지 원자력 발전의 비중을 대폭 확대하기로 하면서 폐로 대상에서 제외됐다”며 이 같이 밝혔다.
박 의원은 “이제 수명이 다해가는 원전으로 인식되고 있는 한빛 1·2호기에 대해서 별다른 조치 없이 수명 연장이라는 독단적인 결정을 내려 국민 안전과 원전 안전은 전혀 관심 없이 국가 전력 수급 대책이라는 명분만을 내세우며 밀어부치는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적 폭력이며 주민을 무시하고 기만하는 행위다”고 비판했다.
이어 “한빛원전 1·2호기는 지난 2012년 가짜부품 사건으로 인해 원자력 발전과 지역의 안전을 심각하게 위협했고, 2019년 1호기 제어봉 낙하 사고와 2호기 증기발생기 문제 발생 등 지금까지 크고 작은 사건·사고가 끊이지 않았다”며 “주민들은 안전에 대한 불안과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가득한 상황이다”고 덧붙였다.
또 “10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백지화하고 민주주의 국가로서 주민의 의견부터 수렴하는 숙의과정을 요구한다”며 “전남도도 이 문제에 더욱 관심을 두고 도민과 지방정부의 의견이 정책 수립 시 적극적으로 반영될 수 있도록 관련 법안 개정 요구 등에 함께 힘을 모아주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