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서 직접 커피 내려"…홈카페족 증가
머신기 커피 작년 가정용 57.7% 차지
건강 관심에 인스턴트 등 믹스커피 감소
건강 관심에 인스턴트 등 믹스커피 감소
입력 : 2023. 03. 14(화) 19:09

가정에서 직접 커피 머신으로 커피를 내려먹는 홈카페족이 증가한 반면 믹스커피 소비는 점차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커피 세분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집에서 마시는 커피종류는 ‘커피 머신기 커피’가 2014년 35%, 2017년 47.2%, 2020년 56.1%, 2022년 57.7%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첨가물에 대한 염려가 있는 ‘믹스커피’는 2014년 73.7%, 2017년 66.2%, 2020년 56.8%, 2022년 49.7%로 줄었다.
지난해 커피 음용에 대한 소비자 니즈과 인식을 보면 ‘스스로의 커피 입맛이 고급화되고 있음을 체감한다’ 48.2%, ‘가정에서도 커피전문점과 같은 커피를 즐기고 싶다’ 61.5%, ‘고급 커피를 마시고 싶다’ 51.9%로 응답해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 국내 커피류 매출 규모는 3조1168억원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6.6%로 조사됐다. 2021년 인스턴트커피와 조제커피의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볶은커피와 액상커피는 각각 50.3%, 6.7% 증가했다. 볶은커피는 커피시장의 35.3%를 차지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홈카페 유행이 지속되고 고급화되고 있는 소비자의 취향, 최근 급등한 원두·부재료, 물류 등 비용 상승으로 인한 카페 커피의 가격 인상 등이 볶은커피 규모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aT는 분석했다.
이어 젊은층 보다 중년층이 커피를 더 많이 소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이 35%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40대(32%), 30대(22%), 20대(12%) 등의 순이었다.
음용 패턴을 보면 56.1%가 ‘맛보다 습관적으로 마신다’고 응답했으며, 연령별로 보면 50대 64%, 40대 58%, 20·30대 각 51.2%로 나타났다.
1일 커피 소비량은 ‘하루 2~3잔’이 47.7%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하루 1잔’ 40.1%, ‘4~5잔’ 7%, ‘하루 6잔 이상’ 2.7%, ‘모름’ 2.5%로 집계됐다.
aT 관계자는 “가정 내 커피머신 활용은 보편적인 커피제조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증가하는 커피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동시에 환경을 해치지 않는 대체커피 생산방식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15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커피 세분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집에서 마시는 커피종류는 ‘커피 머신기 커피’가 2014년 35%, 2017년 47.2%, 2020년 56.1%, 2022년 57.7%로 증가세를 보였다. 반면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첨가물에 대한 염려가 있는 ‘믹스커피’는 2014년 73.7%, 2017년 66.2%, 2020년 56.8%, 2022년 49.7%로 줄었다.
지난해 커피 음용에 대한 소비자 니즈과 인식을 보면 ‘스스로의 커피 입맛이 고급화되고 있음을 체감한다’ 48.2%, ‘가정에서도 커피전문점과 같은 커피를 즐기고 싶다’ 61.5%, ‘고급 커피를 마시고 싶다’ 51.9%로 응답해 고급 커피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2021년 국내 커피류 매출 규모는 3조1168억원으로 2018년부터 2021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6.6%로 조사됐다. 2021년 인스턴트커피와 조제커피의 시장 규모는 전년 대비 감소한 반면, 볶은커피와 액상커피는 각각 50.3%, 6.7% 증가했다. 볶은커피는 커피시장의 35.3%를 차지했다.
이는 코로나19로 인해 홈카페 유행이 지속되고 고급화되고 있는 소비자의 취향, 최근 급등한 원두·부재료, 물류 등 비용 상승으로 인한 카페 커피의 가격 인상 등이 볶은커피 규모 증가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aT는 분석했다.
이어 젊은층 보다 중년층이 커피를 더 많이 소비한 것으로 조사됐다.
연령별로 보면 50대 이상이 35%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40대(32%), 30대(22%), 20대(12%) 등의 순이었다.
음용 패턴을 보면 56.1%가 ‘맛보다 습관적으로 마신다’고 응답했으며, 연령별로 보면 50대 64%, 40대 58%, 20·30대 각 51.2%로 나타났다.
1일 커피 소비량은 ‘하루 2~3잔’이 47.7%로 가장 높았다. 이어 ‘하루 1잔’ 40.1%, ‘4~5잔’ 7%, ‘하루 6잔 이상’ 2.7%, ‘모름’ 2.5%로 집계됐다.
aT 관계자는 “가정 내 커피머신 활용은 보편적인 커피제조 방식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증가하는 커피 수요에 적절히 대응하면서 동시에 환경을 해치지 않는 대체커피 생산방식에 대한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다”고 밝혔다.
송태영 기자 sty1235@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