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에너지경제공동체' 닻 올렸다
광주·전남·북 지역 정치권 논의 착수…내달 용역 발주할듯
동남권 '메가시티' 넘는 '그랜드 비전'…RE300 달성 등 목표
입력 : 2021. 01. 11(월) 18:49
광주·전남과 전북을 아우르는 ‘호남에너지경제공동체사업’이 새해부터 본격 추진된다.

11일 호남 지역구 국회의원들에 따르면 광주와 전남·북 지역을 신재생에너지의 글로벌 메카로 육성하는 ‘호남에너지경제공동체’ 구상을 구체화하는 사업이 이번 달부터 본격화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이용섭 광주시장과 김영록 전남도지사, 송하진 전북도지사를 비롯해 광주·전남·북 지역구 국회의원들은 연말과 연초에 잇따라 회동을 갖고 사업과 관련한 다양한 논의를 해온 것으로 전해졌다.

광주 지역구 한 의원은 “호남에너지경제공동체 구상은 동남권의 ‘메가시티’, 충청권의 ‘광역거버넌스’, 일본의 ‘간사이광역연합’을 뛰어넘는 대규모 경제공동체 구상으로, 낙후된 호남을 일으키는 균형발전전략이자 그랜드 비전”이라며 “실현을 위해 호남의 총화를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민형배 의원도 지난 7일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송갑석 광주시당위원장이 계획하는 호남에너지경제공동체사업을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송갑석 시당위원장은 지난 달 15일 국회의원회관에서 김승남 전남도당위원장과 김성주 전북도당위원장을 만나 전기기술연구원을 비롯한 관계기관으로부터 기술 자문을 거친 구상을 함께 추진하자고 제안했다. 광주·전남·전북 시도당 위원장들은 광주시장과 전남·북지사를 비롯한 호남 국회의원 모두의 뜻을 모으는 작업을 추진해왔다.

이 제안은 2050년 ‘탄소 제로’라는 국가 과제에 이미 RE30에 근접한 호남이 전국에서 가장 먼저 선도적으로 역할을 수행하는 구상이다.

앞서 문재인 정부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 발전 비중을 20%까지 확대한다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지난 2017년 12월 발표했다.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은 태양광을 현재 7.13GW에서 36.5GW로, 풍력은 현재 1.42GW에서 17.7GW로 늘리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제안은 또 권역별 메가시티 육성을 통한 균형발전전략에 따라 ‘호남 RE300’을 통해 호남발전전략을 모색하는 것이다.

재생에너지확대라는 세계적인 대변화 속에서 입지와 환경에서 발전 가능성과 잠재력이 가장 큰 호남의 장점을 십분 살려 글로벌 경쟁을 선도해 나가자는 내용이다.

서남해안은 우리나라에서 해상풍력의 입지(바람, 대륙붕)가 가장 우수하다. 호남은 새만금, 염해농지, 농업용수댐 등 활용가능한 태양광 부지를 가장 많이 보유하고 있다.

이 구상이 실현되려면 재생에너지를 저장하고 운반하는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 이 사업의 핵심 기업이 될 한국전력과 함께 이른바 ‘신재생에너지고속도로’를 구축하는 일이다.

이를 위해 중앙당 민주연구원과 광주시, 전남도, 전북도는 물론 한국전력과 광주시당, 전남도당, 전북도당이 모두 함께 다음 달부터 오는 3월까지 사업 타당성 용역을 발주할 예정이다.

용역 결과가 나오면 호남 광역단체장과 지역구 국회의원들이 모두 함께 기자회견을 열어 이 사업에 대한 추진 의지를 천명하는 한편 문재인 대통령에게 호남을 ‘신재생에너지 시범사업지구’로 선정하고 이를 지역 뉴딜 사업으로 확정해 지원해 줄 것을 공식 요청할 계획이다.

앞서 이낙연 대표도 광남일보와의 신년 인터뷰에서 “한국전력을 신재생에너지의 플랫폼 기업으로 만드는 것을 제안 드린다”며 “덴마크 동(DONG) 에너지가 북유럽의 친환경 재생에너지 플랫폼 기업으로 도약한 것처럼 한국전력이 대한민국의 에너지 허브로 성장하기를 희망한다. 한전이 신재생에너지 플랫폼 기업이 되면 광주·전남을 뛰어넘어 대한민국의 중심, 동아시아의 허브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정치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