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대통령, 위기를 기회로 바꾼 SK하이닉스 현장 방문
-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현장' 방문
- 첨단산업 세계공장 도약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2.0 전략 발표
- 용인반도체 클러스터 등 경제주체 간 4가지 협약을 통해 연대와 협력 전방위 확산 확인
- 첨단산업 세계공장 도약을 위한 소재부품장비 2.0 전략 발표
- 용인반도체 클러스터 등 경제주체 간 4가지 협약을 통해 연대와 협력 전방위 확산 확인
입력 : 2020. 07. 10(금) 11:27

문재인 대통령은 7.9일(목) 지난 1년간 소부장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온 기업·국민들과 함께 일본 수출규제 대응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소부장 강국 및 첨단산업 세계공장으로의 도약을 위해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현장’인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에 방문해 발언하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은 7.9일(목) 지난 1년간 소부장 안정화를 위해 노력해온 기업·국민들과 함께 일본 수출규제 대응 경험과 성과를 공유하고, 소부장 강국 및 첨단산업 세계공장으로의 도약을 위해 ‘대한민국 소재부품장비 산업현장’인 경기 이천시 SK하이닉스에 방문했다.
이번 방문은 일본 수출규제 이후 주요 품목의 확실한 공급안정을 이루었으나, 코로나19·국가 간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밸류체인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추진되었다.
정부는 수출규제 대응경험을 토대로 글로벌공급망 재편에 선제 대응하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①글로벌소부장 강국 도약, ②첨단산업의 세계공장化 등 2대 전략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소재부품장비 정책대상을 확장하고, 22년까지 차세대 기술개발 집중투자, 소부장으뜸기업 100개 육성, 디지털공급망·소재혁신 AI플랫폼 등 새로운 정책수단을 도입한다.
대한민국이 첨단산업 세계공장이 되기 위해 첨단투자지구 등을 도입함과 동시에, 첨단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첨단산업 유치 등에 5년간 약 1.5조 원의 재정을 투입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일본 수출규제 당시를 떠올리며 그 당시는 한국경제와 기업에 직격탄이 될 거라고 했지만, 1년 동안 민관이 혼연일체가 되어 노력한 결과 우리의 잠재력과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소부장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함과 동시에 공세적 정책으로 전환하고, 대한민국인 미래시장 선점에 필수적인 첨단산업의 세계공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번 행사는‘으라차차 소부장’을 주제로 △소부장 테스트베드 협력현장 방문, △소부장과 함께한 우리의 1년, △연대·협력 협약식 순서로 진행되었다.
‘테스트장비 협력현장 방문’에서는 SK하이닉스의 분석·측정장비를 활용하여 불화수소 등을 시험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 연구원들이 장비를 시연하고 개발과정을 설명했다.
‘소부장과 함께한 우리의 1년’ 간담회를 통해서는 개발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성과, 외투기업의 한국투자 결정배경, 미래발전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이어 산업부 장관이‘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SK회장이 ‘소재부품장비 도약을 위한 사회적 가치창출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끝으로, ‘연대와 협력 협약식’에서는 4가지 협약을 체결했는데 그 내용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SK하이닉스와 입주후보기업, 정부 간「용인반도체 클러스터 연대와 협력 협약」을 체결하여 120조원 투자, 신규 일자리 1.7만 명, 188조 원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 △안정적 국내시장 확보가 유턴 결정의 핵심 요소임에 주목하여 전자업계 수요대기업, 협력기업이 참여하는「전자업계 국내복귀 활성화 협약」을 체결 △이차전지 양극재 생산 업체인 유미코아는 연구개발 핵심허브 구축(천안)에 3천만 불 규모를 투자하고, 세계적 반도체 장비 생산업체인 램리서치는 1.3억 불 규모의 R&D센터(용인)를 건립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내 협력사, 지원기관 간「첨단투자 협력 협약」체결 등이다.
이번 방문은 일본 수출규제 이후 주요 품목의 확실한 공급안정을 이루었으나, 코로나19·국가 간 무역분쟁 등으로 글로벌 밸류체인이 급변하는 환경에 대응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는 인식하에 추진되었다.
정부는 수출규제 대응경험을 토대로 글로벌공급망 재편에 선제 대응하고 위기를 기회로 전환하기 위해 ①글로벌소부장 강국 도약, ②첨단산업의 세계공장化 등 2대 전략과제를 중점 추진한다.
소재부품장비 정책대상을 확장하고, 22년까지 차세대 기술개발 집중투자, 소부장으뜸기업 100개 육성, 디지털공급망·소재혁신 AI플랫폼 등 새로운 정책수단을 도입한다.
대한민국이 첨단산업 세계공장이 되기 위해 첨단투자지구 등을 도입함과 동시에, 첨단투자에 대한 세제지원을 대폭 강화하고, 첨단산업 유치 등에 5년간 약 1.5조 원의 재정을 투입할 예정이다.
문재인 대통령은 작년 일본 수출규제 당시를 떠올리며 그 당시는 한국경제와 기업에 직격탄이 될 거라고 했지만, 1년 동안 민관이 혼연일체가 되어 노력한 결과 우리의 잠재력과 저력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했다.
또한, 글로벌 공급망이 재편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존 소부장 정책을 흔들림 없이 추진함과 동시에 공세적 정책으로 전환하고, 대한민국인 미래시장 선점에 필수적인 첨단산업의 세계공장이 되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SK하이닉스 현장 방문 모습.
‘테스트장비 협력현장 방문’에서는 SK하이닉스의 분석·측정장비를 활용하여 불화수소 등을 시험하고 있는 중소·중견기업 연구원들이 장비를 시연하고 개발과정을 설명했다.
‘소부장과 함께한 우리의 1년’ 간담회를 통해서는 개발과정에서의 어려움과 성과, 외투기업의 한국투자 결정배경, 미래발전 아이디어를 공유했다.
이어 산업부 장관이‘소재부품장비 2.0 전략’을, SK회장이 ‘소재부품장비 도약을 위한 사회적 가치창출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끝으로, ‘연대와 협력 협약식’에서는 4가지 협약을 체결했는데 그 내용은 △세계 최고 수준의 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SK하이닉스와 입주후보기업, 정부 간「용인반도체 클러스터 연대와 협력 협약」을 체결하여 120조원 투자, 신규 일자리 1.7만 명, 188조 원 부가가치 창출이 예상 △안정적 국내시장 확보가 유턴 결정의 핵심 요소임에 주목하여 전자업계 수요대기업, 협력기업이 참여하는「전자업계 국내복귀 활성화 협약」을 체결 △이차전지 양극재 생산 업체인 유미코아는 연구개발 핵심허브 구축(천안)에 3천만 불 규모를 투자하고, 세계적 반도체 장비 생산업체인 램리서치는 1.3억 불 규모의 R&D센터(용인)를 건립할 예정이다. 이를 위해 국내 협력사, 지원기관 간「첨단투자 협력 협약」체결 등이다.
서울 = 맹인섭 기자 mis728@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