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객기참사피해 지원추모위’ 내달 4일 출범한다
김민석 총리·대통령지명 민간위원 공동위원장
국회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도 조만간 구성
국회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위’도 조만간 구성
입력 : 2025. 10. 30(목) 17:26
본문 음성 듣기
가가
12·29 무안국제공항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유가족이 사고 조사당국에 조사 관련 정보를 공개하고 하루빨리 진실을 밝힐 것을 호소했다. 사진은 29일 국감장에서 무릎 꿇고 호소하는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연합)
‘12·29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및 추모위원회(이하 여객기참사 피해지원·추모위)’가 다음달 4일 출범한다.
아울러 국회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를 조만간 구성하고 여야가 여객기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에 나선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광주 북구갑)은 “정부는 ‘12·29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실 산하에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해 다음달 4일 ‘여객기참사 피해지원·추모위’를 출범식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피해지원·추모위는 국무총리와 대통령이 지명하는 민간위원이 공동 위원장을 맡는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최교진 교육부 장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당연직 위원(9명)으로 참여한다.
또 김유진 여객기참사유가족협의회 대표를 비롯해 유가족 단체가 추천하는 법률, 의료·심리, 재난안전·관리, 인권, 추모시설, 문화 분야 전문가가 위촉직 위원(9명)으로 함께한다.
피해지원·추모위는 △피해자 확인과 생활지원·심리상담·치유휴직·교육 등 공동체 회복 지원사업 △추모공원 조성과 추모기념관·추모비 건립 등 추모사업 △재단 및 사단의 선정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의결한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차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 10억여 원을 국비로 편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국비 예산은 조만간 발족하는 피해지원·추모위에서 의결해 내년도 정부 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세종 청사에서 올해 초 발주한 ‘12·29여객기참사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연구방안’ 용역에 대한 중간보고를 들었다.
이 용역에 대한 종합보고는 오는 12월 초로 잡혀 있으나, 내년 사업에 쓰일 국비 예산과 관련한 초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간보고를 요청한 것이다.
여야 대표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를 앞두고 이날 국회에서 참사 유가족을 만나 진상 규명에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국회 당 대표 회의실에서 유가족을 면담하며 “국조를 잘 진행해 국민 생명과 안전이 위험에 빠지는 일이 없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정 대표는 “유가족이 원하는 만큼 납득할 만큼 진실이 규명되지 않았고 진실 규명 작업도 더딘 것 같다”며 “(유가족 등이) 원하고 요구하는 바도 있어서 모처럼 여야 합의로 국조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도 국회 당 대표실에서 유가족과 만나 “유가족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첫걸음은 그날의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히는 것”이라며 “지금 유가족이 진행되고 있는 진상조사의 공정성에 여러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잘 안다. 어떤 은폐, 왜곡 없이 여러분이 납득할 수 있는 참사 원인을 규명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또 “유가족이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을 하겠다. 항공 안전 관리와 위기 대응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겠다”며 “유가족 의견이 최대한 반영되게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국조가 저희에게 큰 위로가 되고 현재로서는 가장 큰 기대와 희망”이라며 “저희 10개월 이상 어떤 자료도 제공 받지 못하고 있는데 유가족이 자료를 제공 받게 도와주고, 국토교통부 소속 사고조사위원회의 독립을 위해 항공조사법을 하루속히 국회에서 통과시켜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는 지난 26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에 따라 여야 원내대표와 협의해 국정조사를 위한 특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권향엽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정 대표와 유가족과의 간담회 후에 기자들과 만나 “국정조사 특위 구성은 교섭단체 반반씩 동수로 하도록 돼 있는데 유가족 측은 비교섭단체 참여도 열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며 “이건 여야 간사간 협의할 일이다. 유가족 뜻을 잘 전달해 관철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 대변인은 정 대표가 “유가족이 국정조사 과정에서 회의 등을 같이 볼 수 있도록 공간을 배려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국회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를 조만간 구성하고 여야가 여객기 참사에 대한 진상규명에 나선다.
30일 더불어민주당 정준호 의원(광주 북구갑)은 “정부는 ‘12·29여객기참사 피해구제 및 지원 등을 위한 특별법’에 따라 국무총리실 산하에 20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해 다음달 4일 ‘여객기참사 피해지원·추모위’를 출범식을 가질 예정”이라고 밝혔다.
피해지원·추모위는 국무총리와 대통령이 지명하는 민간위원이 공동 위원장을 맡는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최교진 교육부 장관,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김윤덕 국토교통부 장관, 강기정 광주시장, 김영록 전남도지사가 당연직 위원(9명)으로 참여한다.
또 김유진 여객기참사유가족협의회 대표를 비롯해 유가족 단체가 추천하는 법률, 의료·심리, 재난안전·관리, 인권, 추모시설, 문화 분야 전문가가 위촉직 위원(9명)으로 함께한다.
피해지원·추모위는 △피해자 확인과 생활지원·심리상담·치유휴직·교육 등 공동체 회복 지원사업 △추모공원 조성과 추모기념관·추모비 건립 등 추모사업 △재단 및 사단의 선정에 관한 사항 등을 심의 의결한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여객기참사 피해자 지원 차원에서 ‘지역경제 활성화 예산’ 10억여 원을 국비로 편성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국비 예산은 조만간 발족하는 피해지원·추모위에서 의결해 내년도 정부 예산에 반영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는 이날 세종 청사에서 올해 초 발주한 ‘12·29여객기참사 피해지역 경제활성화 연구방안’ 용역에 대한 중간보고를 들었다.
이 용역에 대한 종합보고는 오는 12월 초로 잡혀 있으나, 내년 사업에 쓰일 국비 예산과 관련한 초안을 마련하기 위해 중간보고를 요청한 것이다.
여야 대표는 12·29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에 대한 국정조사 실시를 앞두고 이날 국회에서 참사 유가족을 만나 진상 규명에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민주당 정청래 대표는 국회 당 대표 회의실에서 유가족을 면담하며 “국조를 잘 진행해 국민 생명과 안전이 위험에 빠지는 일이 없게 최선을 다하겠다”고 약속했다.
정 대표는 “유가족이 원하는 만큼 납득할 만큼 진실이 규명되지 않았고 진실 규명 작업도 더딘 것 같다”며 “(유가족 등이) 원하고 요구하는 바도 있어서 모처럼 여야 합의로 국조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국민의힘 장동혁 대표도 국회 당 대표실에서 유가족과 만나 “유가족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첫걸음은 그날의 진실을 명명백백히 밝히는 것”이라며 “지금 유가족이 진행되고 있는 진상조사의 공정성에 여러 의문을 제기하는 것을 잘 안다. 어떤 은폐, 왜곡 없이 여러분이 납득할 수 있는 참사 원인을 규명하는 데 힘을 보태겠다”고 말했다.
또 “유가족이 일상으로 되돌아갈 수 있도록 필요한 지원과 제도적 뒷받침을 하겠다. 항공 안전 관리와 위기 대응 시스템을 철저히 점검하고 미진한 부분을 보완하겠다”며 “유가족 의견이 최대한 반영되게 끝까지 함께하겠다”고 밝혔다.
김유진 유가족협의회 대표는 “국조가 저희에게 큰 위로가 되고 현재로서는 가장 큰 기대와 희망”이라며 “저희 10개월 이상 어떤 자료도 제공 받지 못하고 있는데 유가족이 자료를 제공 받게 도와주고, 국토교통부 소속 사고조사위원회의 독립을 위해 항공조사법을 하루속히 국회에서 통과시켜달라”고 요청했다.
앞서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요구서’는 지난 26일 국회 본회의에 보고됐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이에 따라 여야 원내대표와 협의해 국정조사를 위한 특위를 구성할 예정이다.
권향엽 민주당 대변인은 이날 정 대표와 유가족과의 간담회 후에 기자들과 만나 “국정조사 특위 구성은 교섭단체 반반씩 동수로 하도록 돼 있는데 유가족 측은 비교섭단체 참여도 열어줬으면 좋겠다고 말했다”며 “이건 여야 간사간 협의할 일이다. 유가족 뜻을 잘 전달해 관철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권 대변인은 정 대표가 “유가족이 국정조사 과정에서 회의 등을 같이 볼 수 있도록 공간을 배려해 줄 것”을 당부했다고 전했다.
이성오 기자 solee235@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