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국회 설득 총력전…미반영 현안 ‘끝까지 간다’
호남고속철 2단계·국립 김산업진흥원 등 핵심사업 국회 반영 총력
입력 : 2025. 10. 30(목) 16:14
본문 음성 듣기
가가
예산 확보 활동 모습.
전남도가 정부예산안에 반영되지 않은 주요 현안사업을 살리기 위해 국회를 상대로 총력전에 돌입했다.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는 30일 국회를 방문해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조계원(여수을)·서삼석(영암·무안·신안)·주철현(여수갑) 의원 등 예결특위 및 지역 의원들을 잇따라 만나 ‘전남도 국회 대응 서면질의서’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강 부지사는 “전남의 미래 성장동력을 좌우할 핵심 사업들이 정부안에서 일부 누락됐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방문은 전남도가 자체 분석한 정부안 미반영 사업을 토대로 마련한 구체적 대응 문서를 바탕으로 추진된 것으로, 도는 향후 예결위 심의 종료 시점까지 실국장급 상시 대응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전남도가 국회에 반영을 요청한 주요 사업은 △호남고속철도 2단계 건설(499억 원)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130억 원) △신안 압해~화원 국도 77호선 연결(583억 원) △화태~백야 국도 연결(405억 원) 등 서남해안 광역교통망 구축사업이 핵심이다.
또 △국립 김산업 진흥원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10억 원) △AI 첨단축산업 융복합밸리 조성(5억 원) △디지털 기반 자원순환 시범산단 구축(40억 원) △민간전용 우주발사체 엔진연소시험시설 구축(20억 원) 등 미래산업 기반사업도 포함됐다.
생활·문화 분야에서는 △전남 5·18기념관 조성(5억 원)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전남센터 유치(10억 원) △무안 갯벌생명관(9억 원) △신안 에코섬 내륙연안습지 조성(13억 원) 등 지역균형형 프로젝트가 반영 대상이다.
강위원 부지사는 “국비 확보는 곧 도민의 삶을 지키고 지역의 미래를 여는 일”이라며 “예결위 심의 마지막 순간까지 ‘끝까지 간다’는 각오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내달 국회 예산안 의결 시점까지 김영록 지사를 중심으로 실·국장 전원이 수시로 국회를 방문해 대응 활동을 이어가며, 여야 주요 인사 및 상임위원과의 협의 창구도 확대할 방침이다.
강위원 전남도 경제부지사는 30일 국회를 방문해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와 조계원(여수을)·서삼석(영암·무안·신안)·주철현(여수갑) 의원 등 예결특위 및 지역 의원들을 잇따라 만나 ‘전남도 국회 대응 서면질의서’를 전달했다.
이 자리에서 강 부지사는 “전남의 미래 성장동력을 좌우할 핵심 사업들이 정부안에서 일부 누락됐다”며 “국회 심의 과정에서 반드시 반영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번 방문은 전남도가 자체 분석한 정부안 미반영 사업을 토대로 마련한 구체적 대응 문서를 바탕으로 추진된 것으로, 도는 향후 예결위 심의 종료 시점까지 실국장급 상시 대응체제를 유지하기로 했다.
전남도가 국회에 반영을 요청한 주요 사업은 △호남고속철도 2단계 건설(499억 원) △고흥~봉래 국도 15호선 4차로 확장(130억 원) △신안 압해~화원 국도 77호선 연결(583억 원) △화태~백야 국도 연결(405억 원) 등 서남해안 광역교통망 구축사업이 핵심이다.
또 △국립 김산업 진흥원 설립 마스터플랜 수립(10억 원) △AI 첨단축산업 융복합밸리 조성(5억 원) △디지털 기반 자원순환 시범산단 구축(40억 원) △민간전용 우주발사체 엔진연소시험시설 구축(20억 원) 등 미래산업 기반사업도 포함됐다.
생활·문화 분야에서는 △전남 5·18기념관 조성(5억 원) △국립트라우마치유센터 전남센터 유치(10억 원) △무안 갯벌생명관(9억 원) △신안 에코섬 내륙연안습지 조성(13억 원) 등 지역균형형 프로젝트가 반영 대상이다.
강위원 부지사는 “국비 확보는 곧 도민의 삶을 지키고 지역의 미래를 여는 일”이라며 “예결위 심의 마지막 순간까지 ‘끝까지 간다’는 각오로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내달 국회 예산안 의결 시점까지 김영록 지사를 중심으로 실·국장 전원이 수시로 국회를 방문해 대응 활동을 이어가며, 여야 주요 인사 및 상임위원과의 협의 창구도 확대할 방침이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