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타 광주공장 화재 원인 규명 시작된다
소방·국과수 이달 중 진행…경찰, 과실 여부 조사도
입력 : 2025. 07. 07(월) 18:37
금호타이어 광주공장 화재 사고의 명확한 원인을 규명할 합동 감식과 해체 작업이 이달 중 이뤄질 전망이다.

광주경찰청은 7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안전상을 이유로 진행되지 못했던 소방·국립과학수사연구원 합동감식이 이달 중으로 진행된다”면서 “발화지점 훼손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현재 경찰은 화재가 발생한 2공장 지붕에서 블랙 카본(발암물질 1급)이 떨어지고 있고, 공장 3층 붕괴가 우려됨에 따라 현장감식을 하지 못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전문가와 경찰의 안전진단 결과 붕괴 우려로 공장에 진입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다”며 “광산구 등 관계기관에 건물 해체를 최대한 서둘러달라는 공문을 발송했다”고 설명했다.

경찰은 현장감식이 진행되면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해 입건 범위와 적용 혐의를 구체화할 방침이다. 현장감식 중 2차 피해를 막기 위해 드론을 투입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다만 현장감식은 공장 해체와 동시에 이뤄져야 하는데, 현재 금호타이어가 제출한 해체계획서의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지난달 30일 국토안전관리원은 광주공장 2공장인 정련공정 건물 해체계획서에 대한 검토를 마친 뒤 일부 자료에 대한 보완을 요구했다.

추후 보완이 완료되면 이 서류를 토대로 광산구는 건축심의위원회 심의를 거쳐 금호타이어에 건물 해체 허가를 내줄 방침이다.

건물 해체 허가가 떨어지면 광산구는 감리자를 지정하고, 이후 금호타이어에서 감리자 계약과 해체 착공 신고를 하면 건물 해체가 시작된다.

해체 공사는 약 2~3개월이 소요돼, 10월 중하순 혹은 연말께 완료될 것으로 예측된다.

경찰은 감식 결과 등을 토대로 관련 법리에 따라 과실 책임 소재와 입건자를 가려낼 방침이다.

현장감식과는 별개로 금호타이어 측의 화재 초기대응이 적절했는지 여부를 살피기 위한 경찰 수사도 속도를 내고 있다.

경찰은 지난 5월28일 첫 압수수색을 통해 현장 화재 대응 지침(매뉴얼) 등을 확보했고, 지난 1일에는 공장 행정동과 일부 관계자들에 대한 2차 압수수색을 진행했다.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상 혐의로 일부 관계자의 휴대전화를 압수, 통화 내역을 살피는 등 불이 난 직후 대피 유도 등 초기 대응이 적절했는지 등을 들여다보고 있다.

경찰이 지금까지 참고인 신분으로 조사한 이들은 44명에 달한다. 다만 현재까지 범죄 혐의점이 드러나 피의자로 입건된 공장 관계자는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동성 광주경찰청 형사기동대장은 “모든 가능성을 열고 수사하고 있다”면서 “감식을 마치면 수사 범위가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임영진 기자 looks@gwangnam.co.kr
사건/사고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