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록 전남지사 "통합의대 현실적 방법…통합 안 되면 공모"
군 공항 이전, 광주시 진지한 마음이면 대화 용의 있어
벼멸구 재해 인정 환영…특별재난지역 지정도 적극 노력
벼멸구 재해 인정 환영…특별재난지역 지정도 적극 노력
입력 : 2024. 10. 07(월) 19:05
김영록 전남지사는 7일 “국립의대 설립을 위해 목포대, 순천대 통합으로 의대를 추진하는 것이 양 지역의 화합을 도모하기 위한 확실한 방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전남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1도(道) 1 국립대학이 정부 방침이고, 학령·아동 인구가 줄어들고 있어 국립대학은 통합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목포대와 순천대 양쪽 대학도 통합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통합의 물꼬가 트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많은 도민이 통합의대에 공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이어 “의대 정원 반영과 관련해 2027, 2028학년도에는 논의가 불가능하고 2026학년도가 의대 증원을 위한 마지막 기회로 생각해야 한다”며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배정 전에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포대와 순천대 총장이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김 지사는 만약 통합의대가 불발할 경우 공모를 통해 단독(단수)의대를 정부에 추천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내비쳤다.
그는 “통합의대가 안 되면 공모로 갈 수밖에 없다”며 “일부에서는 공모를 통해 두 개의 의대를 추천하자고 주장하나 정부가 이를 받아 주지 않는다”고 전했다.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해 김 지사는 “중요한 것은 군공항을 무안군이 받느냐”라며 광주시에 진지한 자세와 진솔한 대화를 주문했다.
김 지사는 전날 광주시민단체가 내놓은 연대성명에 공감했고, 광주시가 언급한 ‘연말 시한’이나 소위 ‘B플랜’ 등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김 지사는 “전남 입장에서도 무안으로 군공항 받아야 하는 건 인정한다. 다만, 군민들로 하여금 환영할 만한 시설이 아니라면 대안 제시가 필요하고, 광주시가 진솔하고 진지하게 군민들을 설득해 달라는 게 도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피해는 없다, 연말까지 답변을 달라, B플랜을 가동하겠다, (양심) 불량하다는 식의 접근은 도움이 되지 않고, 협상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만 들 뿐”이라며 “진지한 자세와 진정한 대화를 원한다면 전남도는 언제든지 응할 용의가 있다”고도 말했다.
김 지사는 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농축산식품부 장관이 벼멸구 피해를 재해로 인정한다는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모든 것이 다 원상태로 될 수는 없지만 벼멸구 피해가 재해로 인정되면 농민들에게 마음에 위로가 될 수 있고 현실적으로 피해 지원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행이다”며 “해남이나 영암, 장흥, 강진 등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오후 전남도청 기자실에서 간담회를 갖고 “1도(道) 1 국립대학이 정부 방침이고, 학령·아동 인구가 줄어들고 있어 국립대학은 통합하지 않을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지사는 “목포대와 순천대 양쪽 대학도 통합 필요성과 방향성에 대해 인식을 같이하고 통합의 물꼬가 트이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많은 도민이 통합의대에 공감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 지사는 이어 “의대 정원 반영과 관련해 2027, 2028학년도에는 논의가 불가능하고 2026학년도가 의대 증원을 위한 마지막 기회로 생각해야 한다”며 “2026학년도 의대 정원 배정 전에 통합이 이뤄져야 한다”고 목포대와 순천대 총장이 적극적으로 나서달라고 주문했다.
김 지사는 만약 통합의대가 불발할 경우 공모를 통해 단독(단수)의대를 정부에 추천하겠다는 입장을 다시 한번 내비쳤다.
그는 “통합의대가 안 되면 공모로 갈 수밖에 없다”며 “일부에서는 공모를 통해 두 개의 의대를 추천하자고 주장하나 정부가 이를 받아 주지 않는다”고 전했다.
교착 상태에 빠져 있는 광주 민간·군 공항 이전 문제와 관련해 김 지사는 “중요한 것은 군공항을 무안군이 받느냐”라며 광주시에 진지한 자세와 진솔한 대화를 주문했다.
김 지사는 전날 광주시민단체가 내놓은 연대성명에 공감했고, 광주시가 언급한 ‘연말 시한’이나 소위 ‘B플랜’ 등은 적절치 않다는 입장을 거듭 밝혔다.
김 지사는 “전남 입장에서도 무안으로 군공항 받아야 하는 건 인정한다. 다만, 군민들로 하여금 환영할 만한 시설이 아니라면 대안 제시가 필요하고, 광주시가 진솔하고 진지하게 군민들을 설득해 달라는 게 도의 입장”이라고 밝혔다.
그는 “피해는 없다, 연말까지 답변을 달라, B플랜을 가동하겠다, (양심) 불량하다는 식의 접근은 도움이 되지 않고, 협상 의지가 있는지 의구심만 들 뿐”이라며 “진지한 자세와 진정한 대화를 원한다면 전남도는 언제든지 응할 용의가 있다”고도 말했다.
김 지사는 또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에서 농축산식품부 장관이 벼멸구 피해를 재해로 인정한다는 방침을 밝힌 것과 관련해 환영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모든 것이 다 원상태로 될 수는 없지만 벼멸구 피해가 재해로 인정되면 농민들에게 마음에 위로가 될 수 있고 현실적으로 피해 지원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다행이다”며 “해남이나 영암, 장흥, 강진 등은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