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도시재생 뉴딜, 그린 뉴딜 사업과 맞춰가야"
광주전남연구원, 주민참여·녹지네트워크 구축 등 사업 제안
입력 : 2020. 12. 02(수) 18:14
광주·전남 도시재생뉴딜 사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정부의 그린뉴딜 사업 발굴 방향과 맞춰가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광주전남연구원 신동훈 책임연구위원은 2일 ‘광주전남정책Brief’를 통해 정부 정책추진 방향에 맞는 광주전남의 도시재생뉴딜사업 발굴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신 연구위원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하나로 그린뉴딜 계획을 발표하며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 온실가스 저감,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주민참여프로젝트사업 △사업화지원 사업 △소규모재생사업을 ‘도시재생예비사업’으로 통합하며 2022년부터는 도시재생예비사업을 완료한 지자체에 한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신청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1·2차 도시재생 뉴딜사업 발표 결과, 향후 정부와 토지주택공사(LH)도 친환경주택 건설과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통한 적극적인 그린뉴딜을 실천한다.
국토교통부도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주민과 지역공동체 참여 기반을 마련하는 등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모사업을 실시한다.
이와 관련 신동훈 책임연구위원은 이 같은 정부 정책추진 방향에 발맞춘 광주전남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적극적으로 발굴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광역·기초 도시재생지원센터 간 협업을 통한 예비사업 발굴·공모 △△주민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지역 맞춤형 전문가 육성 △사회적 약자 비대면 돌봄 서비스 등 생활SOC복합화 사업과 연계될 수 있는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린 뉴딜과 연계되는 광주전남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 발굴을 위해서는 △도심 속 그린커튼과 녹지네트워크 구축 △그린리모델링 등 정부의 그린뉴딜과 연계된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책임연구위원은 “향후 도시재생뉴딜사업 신청을 위해 우선하여 주민 참여 프로젝트와 사업화, 사업계획 수립 컨설팅 등을 포함한 도시재생예비사업의 선행적 추진이 필요하다”며 “도시재생뉴딜사업 신청은 생활 SOC 시설 등 공공건축물에 우선 적용하고 점진적으로 민간부분에 성과를 확산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광주전남연구원 신동훈 책임연구위원은 2일 ‘광주전남정책Brief’를 통해 정부 정책추진 방향에 맞는 광주전남의 도시재생뉴딜사업 발굴 필요성에 대해 언급했다.
신 연구위원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7월 14일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하나로 그린뉴딜 계획을 발표하며 스마트 그린도시 조성, 온실가스 저감,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개별적으로 운영되던 △주민참여프로젝트사업 △사업화지원 사업 △소규모재생사업을 ‘도시재생예비사업’으로 통합하며 2022년부터는 도시재생예비사업을 완료한 지자체에 한해 도시재생 뉴딜사업에 신청 할 수 있도록 추진할 계획이다.
올해 1·2차 도시재생 뉴딜사업 발표 결과, 향후 정부와 토지주택공사(LH)도 친환경주택 건설과 재생에너지 생산 확대를 통한 적극적인 그린뉴딜을 실천한다.
국토교통부도 주민역량을 강화하고 주민과 지역공동체 참여 기반을 마련하는 등 도시재생뉴딜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공모사업을 실시한다.
이와 관련 신동훈 책임연구위원은 이 같은 정부 정책추진 방향에 발맞춘 광주전남 도시재생 뉴딜 사업이 적극적으로 발굴돼야 한다고 제언했다.
이를 위해 △광역·기초 도시재생지원센터 간 협업을 통한 예비사업 발굴·공모 △△주민 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지역 맞춤형 전문가 육성 △사회적 약자 비대면 돌봄 서비스 등 생활SOC복합화 사업과 연계될 수 있는 사업 발굴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린 뉴딜과 연계되는 광주전남의 도시재생 뉴딜 사업 발굴을 위해서는 △도심 속 그린커튼과 녹지네트워크 구축 △그린리모델링 등 정부의 그린뉴딜과 연계된 방향으로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 책임연구위원은 “향후 도시재생뉴딜사업 신청을 위해 우선하여 주민 참여 프로젝트와 사업화, 사업계획 수립 컨설팅 등을 포함한 도시재생예비사업의 선행적 추진이 필요하다”며 “도시재생뉴딜사업 신청은 생활 SOC 시설 등 공공건축물에 우선 적용하고 점진적으로 민간부분에 성과를 확산하는 방식을 채택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현규 기자 gnnews1@gwangnam.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