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확진자 양동시장 방문?’…오보에 뿔난 상인들
발표 후 뒤늦게 ‘정정’…‘안심 시장’ 이미지 추락
동행세일 등 앞두고 잇단 악재로 손님 발길 줄어
입력 : 2020. 06. 29(월) 17:40
광주 서구 양동시장에 ‘광주·전남 확진자가 방문했다’는 지자체의 발표가 29일 정정됐지만 시장 내부는 한산한 분위기가 이어지고 있다.


“정부 주도의 대규모 할인 행사인 ‘대한민국 동행세일’ 예정과 긴급재난지원금으로 코로나19 여파에 휩싸였던 양동시장의 분위기가 5개월여 만에 겨우 회복되고 있었는데 ‘코로나19 확진자가 다녀갔다’는 지자체의 잘못된 발표에 다시 초상집이 됐습니다.”

호남지역 최대 규모의 전통시장인 광주 서구 양동시장의 상인들이 단단히 뿔났다.

지난 27일 늦은 밤 광주와 목포시민이 코로나19 신규확진자로 분류됐고 ‘양동시장에 방문했다’는 지자체의 발표 이후부터다.

광주시는 안전 문자를 통해 광주 34번 확진자 A씨가 지난 23일 오후 3시 30분께 ‘고려직물(경열로 135, 양동)’을 방문했다고 발표했다.

반면 전남도는 공식 유튜브와 긴급 발표문을 통해 A씨와 가족관계인 전남 21번 확진자 B씨가 “양동시장을 방문했고 이때는 증상이 발현되기 전”이라고 발표했다.

이 같은 발표와 안내문자에 시민들은 확진자들이 양동시장을 다녀간 것으로 받아들였지만, 양동시장 상인들은 ‘고려직물은 양동시장에 포함되지 않는 곳’이라며 지자체의 발표에 억울함을 쏟아내고 있다.

양동경열로시장 특성화첫걸음 사업단 관계자는 “A씨 등은 양동시장이 아닌 고려직물만을 방문했고 양동시장에 주차를 하지도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며 “주소지를 보더라도 고려직물은 시장과 어디 하나 맞닿지 않고 5차선 도로 너머에 있는 곳으로, 양동시장과는 전혀 관계없는 일반 상점”이라고 밝혔다.

양동시장은 양동복개상가, 양동시장, 건어물시장, 수산시장, 경열로시장, 닭전길시장 등 총 7개 상인회로 구성돼 1500여개 상점이 운영되고 있는 반면 고려직물은 상인회에 포함돼 있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목포시 보건당국 관계자는 “당시 확진자가 양동시장을 방문했다고 진술해 긴급브리핑에 해당 내용을 포함 시켰지만, 광주지역 내 이동 동선은 광주시 보건당국의 발표사항이 맞다”고 설명했다.

상황 파악을 마친 양동시장 상인들은 서구청 등에 민원을 쏟아냈고 전남도는 뒤늦은 29일에서야 ‘전남 21번 확진자 이동 동선에서 양동시장 방문 사실이 없음을 확인해 서구 경영로135 고려직물 방문으로 정정한다’는 안내 문자를 시민들에게 발송했다.

하지만 확진자 방문 소식에 이미 양동시장은 고객들의 발길이 뚝 끊기는 등 직격탄을 피해가지 못했다.

실제로 이날 오전 상인들은 침체된 분위기 속에서 마스크를 착용한 채 손님들을 기다렸지만, 시민들은 시장 내부에 들어가길 망설이는 모습을 보였고 오후 들어 장맛비까지 내리기 시작하자 시장 내부가 텅 비어 적막감만이 흘렀다.

이곳에서 신발가게를 운영하는 고형길씨(51)는 “안 그래도 코로나19 이후로 매출이 바닥을 치고 있는데 확진자 소식에 매출이 30~40%는 더 떨어졌다”면서 “어제·오늘 상가를 지나가는 사람조차 찾아보기 힘들어 상인들은 일찌감치 가게 문을 닫고 어디에 하소연할 곳조차 없이 발만 동동 구르고 있다”고 토로했다.

더군다나 양동시장 상인들은 지난 1월 말부터 상인회·부녀회 등을 중심으로 매주 상가 전체 방역, 매일 자체 방역, 마스크 착용·손 소독제 사용 교육 등을 펼치며 ‘안심 전통시장’에 대한 이미지를 구축해 온 터라 깊은 탈력감을 호소하고 있다.

특히 양동시장은 코로나19로 인한 소비위축을 해결하기 위한 정부 주도의 대규모 할인 행사인 ‘대한민국 동행세일’이 양동경열로시장(이달 30일~7월 1일), 양동시장(7월 1~4일), 양동전통수산시장(7월 9~11일) 등에 예정돼 특가판매, 할인행사, 다양한 볼거리 등을 준비하는 등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준비에 한창이었기에 상인들의 속앓이는 커져만 가고 있다.

손중호 광주시 상인연합회장은 “양동시장은 그간 끊임없는 방역을 통해 코로나19 청정지역임을 홍보해 왔지만 지자체의 잘못된 발표 한 번으로 모든 것이 수포로 돌아갔다”며 “확진자 동선 발표는 굉장히 민감한 사항인데 당사자의 진술에만 의존한 채 정확한 확인을 거치지 않은 지자체의 발표에 상인 모두가 고통을 겪고 있어 유감스러운 심정이다”고 말했다.
최성국 기자 stare8194@gwangnam.co.kr
사회일반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