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병원 급성심근경색증 등록 연구 논문 400편 돌파
입력 : 2023. 03. 14(화) 18:48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가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KAMIR·총괄연구책임자 정명호)를 통해 400편의 논문을 게재,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성과를 거두고 있다.

14일 전남대학교병원에 따르면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를 통해 최근 학회지 ‘Scientific Reports’에 ‘급성 심근경색증 후 박출률이 회복된 심부전 환자에서 레닌 안지오텐신 알도스테론계 억제제 중단 후 예후’에 관한 논문을 게재, 총 400편(SCI 367편)의 연구논문을 게재했다.

총괄연구책임자인 정명호 교수는 “KAMIR 연구를 통해 급성심근경색증 환자의 1년 사망률을 11.4%에서 6.7%로 감소시켰으며, 우리나라 환자의 체질에 맞는 치료법을 개발함으로써 세계 최고의 업적을 이룩할 수 있었다”며 “이러한 연구 성과는 대한심장학회 심근경색연구회 회원들의 지난 18년간 노고를 바탕으로 이루어진 것이라 할 수 있어서 더욱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특히 한국인 심근경색증 등록연구는 우리나라 환자의 체질은 서양과 달리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높은 환자는 서양보다 적고, 중성지방이 높고 고밀도 콜레스테롤이 낮은 환자가 많아서 서양과 다른 치료가 필요하다는 것을 밝혔다.

하지만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저밀도 콜레스테롤이 낮더라도 초기에 스타틴 투여를 하면 임상경과를 개선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발표해 미국 심장학회지에 게재하였고 미국 가이드라인에도 인용되는 성과를 올린 바 있다.

또한 우리나라 환자는 강력한 항혈소판제 투여 후에 출혈 위험 증가하므로 서양 환자와는 달리 용량을 줄이거나 선택적으로 투여해야 한다는 점도 시사했다.

이에 급성 심근경색증 환자 치료에 쓰이는 이중 항혈소판제 스코어(KAMIR-DAPT score) 방법을 세계 최초로 개발, 유럽심장학회지에 게재한 바 있다. 이는 지금까지 서양에서 개발돼 사용됐던 및 ‘GRACE score 및 DAPT Score’보다 생존 예측도가 우수하게 나타나 출혈 위험이 높은 동양인 심근경색증 환자에서 더욱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정명호 교수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JAMA, Lancet, BMJ, JACC, Circulation, EHJ 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의 연구성과는 전남대병원의 위상을 높이고, 향후 광주 R&D 특구에 설립 추진 중인 국립심뇌혈관센터 유치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정명호 교수는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JAMA, Lancet, BMJ, JACC, Circulation, EHJ 등 국제적으로 저명한 학술지에 게재되는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전남대병원 순환기내과의 연구성과는 전남대병원의 위상을 높이고, 향후 광주 R&D 특구에 설
건강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