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나의 첫 공원나들이와 2040공원녹지기본계획
윤춘성 광주시 도시공원과 공원도시기획팀장
입력 : 2023. 03. 06(월) 23:50
광주시 공원녹지기본계획을 수립하는 팀장의 자리에서 내 어린 시절 공원을 이용한 적이 있던가. 곰곰이 생각해 보니 필자가 초등학교 2학년쯤이었다. 광주에서 고등학교를 다니던 누나들을 따라 사직공원(동물원)에 처음으로 공원 나들이를 갔던 것으로 기억한다. 동물원 구경을 마치고 팔각정에 올라 보니 조금 멀리 대관람차가 보였다. 호기심 어린 마음에 누나들에게 태워 달라고 졸랐지만 태워주질 않았다. 나는 못내 아쉬워 엉엉 울며 돌아왔던 기억이 있다. 그 시절 누나들은 시골에서 힘들게 농사지어 광주로 유학을 보내주신 부모님 생각에 한 푼이라도 아껴야 했던 것 같다. 최근 우치공원 대관람차를 타고 높은 곳에서 내려다보며 누나들과 처음 나들이 갔던 동물원의 기억을 떠올렸다. 이렇듯 사직공원은 나의 마음 한켠에 추억의 한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공원녹지법에서 ‘공원녹지란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 함양에 이바지하는 공간 또는 시설물을 말한다’라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가 이용하고 있는 도시공원, 녹지, 유원지 등이 공원녹지인 것이다. 이처럼 누군가에게는 추억의 공간이고 누군가에게는 건강과 휴양의 공간인 공원녹지에 대해서 공원녹지법에는 매10년 단위로 향후 20년 후의 공원녹지 기본계획을 수립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광주시는 2020년부터 용역을 발주하여 상위계획인 도시기본계획을 바탕으로 지역적 특성과 여건을 감안하여 공원?녹지의 확충과 관리, 이용 방향에 관한 바람직한 미래상과, 지속가능한 도시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공원녹지의 구조적인 틀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고 있다.

이번 계획은 2010년에 수립한 2030 공원녹지 기본계획에서 제시되었던 내용들을 재검토하고, 현재 진행 중인 민간공원특례사업과 재정공원 조성사업 등을 반영하여 현재의 상황을 진단하고 향후 2040년 우리시 공원녹지의 장기적인 발전방향을 제시하는 계획이다.

우리시는 공원녹지 미래상을 ‘미래의 첨단도시 문화예술을 담은 즐겁고 기대되며 자립하는 녹색 공원도시 광주’로 정하고, 세부추진 전략으로 주제공원 확대 등 도시공원의 질적 향상과 공원문화 활성화를 위한 ‘녹색 꿀잼도시’, 공원녹지의 균형적인 확충을 통해 소외지역를 해소하는 ‘녹색 포용도시’, 민·관이 함께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녹색복지 실현을 위한 ‘녹색 탄소제로 도시’로 만들어 가고자 한다.

2020년 12월말 기준 현재 우리시 도시공원은 총 639개소, 1900만㎡이며, 조성중인 민간공원 특례사업을 포함하여 공원 조성률은 93.9%로 1인당 공원면적은 13.1㎡이다. 향후 2040년에는 공원면적을 2330만㎡를 확충하는 계획으로 1인당 공원면적은 15.5㎡로 약 2.4㎡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공원녹지의 종합배치 구상은 동쪽의 무등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림연결축과, 서쪽의 용진산을 중심으로 하는 산림연결축, 남북으로는 영산강과 황룡강을 중심으로 하는 수변연결축, 거점형 특화공원을 중심으로 하는 내환상녹지축을 구축하여 공원녹지의 확충·보전·이용방향을 통한 유기적인 연결 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며,

공원서비스가 필요한 지역을 중심으로 근린공원 3개소, 주제공원 7개소, 어린이공원과 소공원 5개소 등 신규 지정공원 15개소 119만㎡와 도시발전에 대비하여 확보하는 시가화 예정 용지 388만㎡를 합쳐 총 427만㎡의 공원면적을 확충할 계획이다.

또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유휴 부지를 중심으로 도시 숲과, 자투리 공간을 활용한 주민 참여형 도시정원을 확충하는 방안과 기존 도시공원과 시설녹지를 그물망처럼 연결하는 녹지이음 숲길을 확충하여, 도심 내 미세먼지와 탄소저감, 도심 열섬현상을 완화하는 등 시민들에게 건강과 휴양,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 더 많은 공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어린 시절 누군가의 추억의 공간으로 기억될 공원을 관리하고 미래를 계획하는 팀장으로서 광주의 공원들이 내 아들 딸의 자손들에게 즐거운 추억의 한 공간으로 기억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고자 한다.
광남일보@gwangnam.co.kr
기고 최신뉴스더보기

기사 목록

광남일보 PC버전
검색 입력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