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전남 코로나19 확진자 9명 발생
감염원 '오리무중'…지역사회 확산 우려
지역감염 7명·해외유입 2명…접촉자 진단검사등 '비상'
지역감염 7명·해외유입 2명…접촉자 진단검사등 '비상'
입력 : 2020. 06. 28(일) 18:34
광주·전남지역에서 이틀 새 9명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으면서 방역당국에 비상이 걸렸다.
특히 확진자 가운데 해외입국자를 제외한 7명은 다른 시·도를 방문하거나 확진자와 접촉 등 감염이 의심되는 정황이 없어 감염원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8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7일 하루 동안 광주·전남지역에서 지역감염으로 추정되는 코로나19 확진자 7명(광주 4명·전남 3명)이 발생했다. 또 같은날 영국과 니카라과에서 입국해 격리시설에 입소한 광주 30대 여성과 전남 40대 남성이 이날 코로나19 진단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고 각각 광주 38번 확진자, 전남 24번 확진자로 분류됐다.
이틀 동안 코로나19 확진자 9명이 추가되면서 광주·전남지역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모두 62명(광주 38명·전남 24명)으로 늘었다.
방역 당국은 자매 부부 등 7명이 감염된 상황에 긴장하고 있다.
광주의 경우 동구에 거주하는 A씨 부부(60대)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광주 34번·35번 확진자로 분류됐다.
광주 36번 확진자는 A씨가 지난 23일 방문한 사찰의 승려(60대·동구 거주), 37번 확진자는 A씨의 지인(60대 여성·서구 거주)으로 밝혀졌다.
전남 확진자 3명은 A씨와 친인척 관계다. 친언니 B씨 부부(60대)와 이들의 중학교 1학년생 손자로 모두 목포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전남 21·22·23번째 환자로 분류됐다.
A씨 자매는 나흘 전인 23일 광주에서 함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목포에 사는 언니 B씨가 이날 화순 전남대병원에 들러 여동생을 만났고 함께 무등산 사찰, 양동시장을 방문하고 점심까지 함께했다.
B씨가 목포로 돌아가고 다음날인 24일부터 자매는 감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자매와 남편들은 확진 판정을 받기 전날인 26일까지 사흘간 각자 개인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확진자 발생 사실이 알려지고 접촉자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추가 감염자가 나왔다.
A씨가 23일 무등산 사찰에서, 24일 진료 차 들른 병원에서 접촉한 60대 남녀가 이날 오후 검사에서 각각 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감염원 파악은 되지 않고 있다.
자매 중 확진 판정은 언니 B씨가 먼저 받았지만 누가 먼저 감염됐는 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또 확진자 7명이 다른 시·도를 방문하거나 확진자와 접촉하는 등 감염을 의심할 만한 정황도 없어 감염경로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 37번 확진자의 경우 지난 2일 세종시를 방문한 전력이 있지만 증상 발현시기를 감안하면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당국은 확진자 진술, CCTV, 신용카드, 휴대전화 GPS 등 역학조사로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광주 확진자의 접촉자는 모두 37명으로 18명은 음성 판정으로 받았으며 나머지는 검사 중이다.
전남에서도 현재까지 106명이 접촉자로 파악됐다. 목포에서 주민 94명이 진단검사를 받았으며, 확진자 가족 6명과 광주 신규 확진자들이 다녀간 나주 장애인 기관에서도 6명이 진단검사를 받았다. 이 가운데 가족 4명·목포 15명·나주 6명은 음성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 검사는 진행 중이다.
확진자들의 동선에는 화순 전남대병원과 온천 시설, 광주 대중목욕탕, 광주 최대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나주 장애인 시설 등이 포함돼 2·3차 감염 확산 우려가 매우 큰 상황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코로나19 2차 대유행이 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전국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서울 확진자는 한 달 새 500여 명이 늘었고, 대전은 불과 10여 일 만에 확진자 수가 기존보다 두 배로 늘었다. 광주도 이런 상황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최근 수도권에서 방문판매업, 물류센터, 교회 등을 통해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전남도는 방역활동을 한층 강화했지만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며 “코로나19는 조금만 방심해도 급속히 재확산될 수 있어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특히 확진자 가운데 해외입국자를 제외한 7명은 다른 시·도를 방문하거나 확진자와 접촉 등 감염이 의심되는 정황이 없어 감염원 파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8일 광주시와 전남도에 따르면 지난 27일 하루 동안 광주·전남지역에서 지역감염으로 추정되는 코로나19 확진자 7명(광주 4명·전남 3명)이 발생했다. 또 같은날 영국과 니카라과에서 입국해 격리시설에 입소한 광주 30대 여성과 전남 40대 남성이 이날 코로나19 진단검사에서 양성판정을 받고 각각 광주 38번 확진자, 전남 24번 확진자로 분류됐다.
이틀 동안 코로나19 확진자 9명이 추가되면서 광주·전남지역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모두 62명(광주 38명·전남 24명)으로 늘었다.
방역 당국은 자매 부부 등 7명이 감염된 상황에 긴장하고 있다.
광주의 경우 동구에 거주하는 A씨 부부(60대)는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아 광주 34번·35번 확진자로 분류됐다.
광주 36번 확진자는 A씨가 지난 23일 방문한 사찰의 승려(60대·동구 거주), 37번 확진자는 A씨의 지인(60대 여성·서구 거주)으로 밝혀졌다.
전남 확진자 3명은 A씨와 친인척 관계다. 친언니 B씨 부부(60대)와 이들의 중학교 1학년생 손자로 모두 목포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전남 21·22·23번째 환자로 분류됐다.
A씨 자매는 나흘 전인 23일 광주에서 함께 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목포에 사는 언니 B씨가 이날 화순 전남대병원에 들러 여동생을 만났고 함께 무등산 사찰, 양동시장을 방문하고 점심까지 함께했다.
B씨가 목포로 돌아가고 다음날인 24일부터 자매는 감기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자매와 남편들은 확진 판정을 받기 전날인 26일까지 사흘간 각자 개인 일정을 소화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날 확진자 발생 사실이 알려지고 접촉자를 검사하는 과정에서 추가 감염자가 나왔다.
A씨가 23일 무등산 사찰에서, 24일 진료 차 들른 병원에서 접촉한 60대 남녀가 이날 오후 검사에서 각각 양성 판정을 받았다.
그러나 현재까지 감염원 파악은 되지 않고 있다.
자매 중 확진 판정은 언니 B씨가 먼저 받았지만 누가 먼저 감염됐는 지 여부에 대해서는 밝혀지지 않고 있다.
또 확진자 7명이 다른 시·도를 방문하거나 확진자와 접촉하는 등 감염을 의심할 만한 정황도 없어 감염경로 찾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다. 광주 37번 확진자의 경우 지난 2일 세종시를 방문한 전력이 있지만 증상 발현시기를 감안하면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조사됐다.
보건당국은 확진자 진술, CCTV, 신용카드, 휴대전화 GPS 등 역학조사로 동선과 접촉자를 파악하고 있다.
현재까지 파악된 광주 확진자의 접촉자는 모두 37명으로 18명은 음성 판정으로 받았으며 나머지는 검사 중이다.
전남에서도 현재까지 106명이 접촉자로 파악됐다. 목포에서 주민 94명이 진단검사를 받았으며, 확진자 가족 6명과 광주 신규 확진자들이 다녀간 나주 장애인 기관에서도 6명이 진단검사를 받았다. 이 가운데 가족 4명·목포 15명·나주 6명은 음성판정을 받았으며, 나머지 검사는 진행 중이다.
확진자들의 동선에는 화순 전남대병원과 온천 시설, 광주 대중목욕탕, 광주 최대 전통시장인 양동시장, 나주 장애인 시설 등이 포함돼 2·3차 감염 확산 우려가 매우 큰 상황이다.
이용섭 광주시장은 “코로나19 2차 대유행이 오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전국적으로 바이러스 감염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서울 확진자는 한 달 새 500여 명이 늘었고, 대전은 불과 10여 일 만에 확진자 수가 기존보다 두 배로 늘었다. 광주도 이런 상황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다”고 말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최근 수도권에서 방문판매업, 물류센터, 교회 등을 통해 환자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전남도는 방역활동을 한층 강화했지만 우려가 현실로 나타났다”며 “코로나19는 조금만 방심해도 급속히 재확산될 수 있어 긴장의 끈을 놓아선 안된다”고 강조했다.
박정렬 기자 holbul@gwangnam.co.kr
이승홍 기자 photo25@gwangnam.co.kr